국토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국토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인기자료

인기자료

소장도서

대구지하철 2호선 개통에 따른 사회경제적 효과와 정책 과제

개인저자
이상용
서명/저자사항
대구지하철 2호선 개통에 따른 사회경제적 효과와 정책 과제 / 이상용... [등 연구]
발행사항
대구 : 대구경북연구원, 2005
형태사항
xⅲ, ⅲ, 190 p. : 삽도 , 26 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 2005-28
총서부출표목
연구보고서(대구경북연구원) ; 2005-28
ISBN
8982880992
서지주기
참고문헌: 190 p
주제명(지명)
대구
바로가기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국토연구원EB030135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B03013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국토연구원
목차
* 요약 ⅰ~ⅲ 제1장 서론 3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가. 연구의 배경 3 나. 연구의 목적 3 2. 연구의 접근방법 4 3. 기대효과 4 제2장 지하철 2호선 개통에 따른 교통체계 변화와 정책과제 9 1. 대구지하철 건설계획 및 운영현황 9 가. 대구지하철 건설계획 9 나. 대구지하철 1호선 운영 현황 및 평가 11 다. 대구지하철 2호선 건설 개요 14 2. 시민설문조사 개요 및 분석결과 15 가. 조사의 개요 15 나. 교통체계 부문 설문 분석 결과 17 3. 개통에 따른 교통체계 변화 전망 23 가. 분석의 개요 23 나. 개통 후 지하철 수송수요 전망 30 다. 개통 전?후 수송수단 분담률 변화 전망 31 4. 교통체계 변화에 따른 효과 분석 32 가. 지하철 노선의 구간별 혼잡도 32 나. 승용차 수송수요 감소의 도로교통 효과 33 5. 지하철 이용증진을 위한 향후 정책과제 34 가. 지하철 이용 연계성 제고를 위한 연계체계의 정비 34 나. 지하철 이용 안전성 확보를 위한 방재체계의 정비 37 다. 지하철 이용 편리성 향상을 위한 안내체계의 정비 39 제3장 지하철 2호선 개통에 따른 역세권 경제활동 변화와 정책방향 43 1. 역세권 경제활동 측정지표 43 가. 지표 선정 43 나. 지역 선정 44 2. 2호선 역세권 지가변동 전망 47 가. 1호선 역세권 지가변동 47 나. 2호선 역세권 지가변동 전망 53 3. 2호선 역세권 건물연면적 및 용도변화 전망 58 가. 1호선 역세권 건물연면적 및 용도변화 58 나. 2호선 역세권 용도별 건물연면적 및 변화 전망 67 4. 역세권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 70 제4장 지하철 2호선 역세권 개발 방향 73 1. 역세권 개발의 정의 73 가. 역세권의 개발 73 나. 역세권 개발의 국내외 사례 74 다. 역세권의 개발방향 80 라. 역세권 개발의 효과 81 2. 지하철 2호선 역세권 개발현황 82 가. 분석의 전제 82 나. 2호선 용도지역 조정 및 개발밀도 조정가능 지역 83 다. 2호선 신시가지 형성가능 지역 84 라. 2호선 역세권 상주인구 증가 전망 84 마. 역세권 지역내 도시계획시설 신설?확충이 필요한 지역 85 3. 역세권 개발 모델 88 가. 역세권의 유형 구분 88 나. 지구 주거기능 중심 역세권 91 다. 지역 상업기능 중심 역세권 119 4. 역세권 개발을 위한 정책 제언 134 가. 계획 측면의 제언 134 나. 정책 측면의 제언 135 제5장 지하철 역세권 문화환경 조성 방안 139 1. 배경과 접근 139 가. 연구의 배경 139 나. 연구의 목표 139 다. 연구의 범위와 접근 140 2. 분석과 전망 141 가. 시민설문조사로 나타난 대구시민들의 문화적 욕구 141 나. 교통의 개념 변화 145 다. 지하(地下) 개념의 변화 146 라. 문화(文化) 개념의 변화 147 마. 연구개발 모델의 방향 149 3. 도심 역세권 문화환경 모델 개발 150 가. 도심역세권 문화환경 개발의 의의 150 나. 연구대상지 150 다. 다른 계획과의 연계 151 라. 도심역세권 문화환경 범주 152 마. 도심역세권 대상지 중심이미지 분석 155 바. 대구지하철 1호선 역사내 문화환경 현황 158 사. 도심역세권 문화환경 조성 과정 161 아. 도심역세권 문화환경 모델 163 4. 주거역세권 문화환경 개발 모델 173 가. 대상지 173 나. 주거역세권 문화환경 고려조건 174 다. 죽전역 역세권 현황 175 라. 죽전역 문화환경 모델 177 5. 역세권 문화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방향 181 제6장 결론 185 1. 요약 185 2. 결론 및 정책제언 188 * 참고문헌 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