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국토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소장도서2023년 BEST 30

탄소중립 도시계획: 기후변화대응

서명/저자사항
탄소중립 도시계획 : 기후변화대응 / 오덕성, 박천보, 김정곤, 반영운, 김세용
판사항
1판
발행사항
기문당 : 서울, 2013
형태사항
465.p : 삽화 ; 26cm
ISBN
9788962255294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국토연구원EB042138대출가능-
지금 이용 불가 (1)
국토연구원EB041709대출중2023.03.26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B04213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국토연구원
지금 이용 불가 (1)
  • 등록번호
    EB04170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중
    2023.03.26
    위치/청구기호(출력)
    국토연구원
책 소개
탄소중립도시는 탄소배출을 원천적으로 감소시키며 배출된 탄소를 최대한 흡수하여 대기 중의 CO2농도를 궁극적으로 제로화화는 '탄소중립원칙(Carbon Neutral Principle)'을 실현하는 도시를 의미한다. 또한 탄소중립 도시계획은 탄소중립원칙을 준수하면서 도시의 탄소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에너지저감형 도시공간구조와 재생가능 에너지원을 연계한 새로운 개념의 도시계획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 책은 기후변화 및 탄소중립의 관련이론과 실제 개발 사례 및 정책분석을 중심으로 탄소중립형 도시계획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기법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으며, 총 4부로 구성되어 현재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지구적 과제인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탄소중립형의 도시계획적인 접근방식을 이해하고, 미래적 도시 및 지역개발을 위한 자원 및 에너지절약 측면의 계획방안을 모색하는데 충실한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제1부 총론 제1장 탄소중립도시 등장배경 1.1 도시문제의 현재와 미래 1.2 도시계획 패러다임의 변화 1.3 도시의 전혼 1.3.1 화석에너지 도시(Oil City) 1.3.2 탈화석에너지 도시(Post-Oil City 제2장 이론 고찰 2.1 기후변화 대응체계: 완화(Mitigation)와 적응(Adaptation) 2.2 탄소중립도시(Carbon Neutral City)개념 2.3 탄소중립도시(Carbon Neutral City)관련 이론 제3장 탄소중립 도시계획 3.1 비전과 목표 설정 3.2 탄소중립도시 전략 3.3 탄소중립 도시계획 제2부 부문별 계획 제1장 토지이용 1.1 관련 개념 1.1.1 공간구조 1.1.2 토지이용 1.2 계획 방향 1.2.1 목표 1.2.2 전략 1.3 계획기법 및 적용 1.3.1 광역적 도시공간 연계 1.3.2 도시구조 및 기능집약형 토지이용 1.3.3 도시 오픈스페이스 및 미기후 고려 제2장 교통 2.1 관련 개념 2.1.1 녹색교통 2.1.2 지속가능한 교통체계 2.1.3 탄소중립 교통 2.2 계획방향 2.2.1 목표 2.2.2 전략 2.3 계획기법 및 적용 2.3.1 대중교통 구현 2.3.2 교통수요 관리정책 및 녹색교통기술 보급 2.3.3 생활밀착형 자전거 보행 활ㄹ성화 제3장 단지 및 건축 3.1 관련 개념 3.1.1 탄소중립 주거단지 3.1.2 탄소중립 건축 3.1.3 유사개념 3.2 계획방향 3.2.1 목표 3.2.2 전략 3.3 계획기법 및 적용 3.3.1 단지계획 3.3.2 건축계획 제4장 공원 및 녹지 4.1 관련 개념 4.1.1 공원 및 녹지의 탄소흡수 4.1.2 열섬현상 완화 4.1.3 탄소중립 녹지 4.2 계획방향 4.2.1 목표 4.2.2 전략 4.3 계획기법 및 적용 4.3.1 탄소흡수 그린 네트워크(Green Network)구축 4.3.2 열섬완화 화이트 네트워크(White Network)구축 제5장 도시에너지 5.1 관련 개념 5.1.1 탄소중립형 도시에너지 5.2 계획 방향 5.2.1 목표 5.2.2 전략 5.3 계획기법 및 적용 5.3.1 탄소중립형 에너지 공급 계획기법 5.3.2 적용 5.3.3 에너지 수요 측면의 탄소중립화 제6장 도시환경(물ㆍ폐기물) 6.1 관련 개념 6.1.1 물 6.1.2 폐기물 6.2 계획방향 6.2.1 목표 6.2.2 전략 6.3 계획기법 및 적용 6.3.1 물 6.3.2 폐기물 제7장 거버넌스 7.1 관련 개념 7.1.1 거버넌스(Governance) 7.1.2 로컬 거버넌스(Local Governance & Urban Governance) 7.1.3 도시거버넌스(Urban Governance) 7.1.4 협력적 거버넌스(Collaborative Governance) 7.1.5 환경 거버넌스(Environment Governance) 7.1.6 탄소중립도시 거버넌스(Carbon-neutral Urban Governance) 7.2 계획방향 7.2.1 목표 7.2.2 전략 7.3 계획기법 및 적용 7.3.1 탄소중립도시 거버넌스의 조직 구성 7.3.2 탄소중립 프로그램 운영 제3부 조성 및 계획 사례 1.1 조성 사례 1.1.1 리젤펠트, 프라이부르크, 독일(Rieselfeld, Freiburg, Germany) 1.1.2 보봉, 프라이부르크, 독일(Vauban, Freiburg, Germany) 1.1.3 림, 뮌헨, 독일(Riem, München, Germany) 1.1.4 BO01, 말뫼, 스웨덴(BO01, Malmö, Sweden) 1.1.5 애들레이드, 호주(Adelaide, Australia) 1.1.6 베드제드, 런던, 영국(BedZED, London, UK) 2.1 계획 사례 2.1.1 동탄, 중국(東灘, China) 2.1.2 마스다르, 아부다비, UAE(Masdar, Abu Dhabi, UAE) 2.1.3 대전 그린시티, 한국 2.1.4 탄소중립형 중부신도시, 한국 3.1 사례 종합 및 시사점 3.1.1 특성 종합 3.1.2 시사점 및 미래 추진 방향 제4부 정책 및 제도 제1장 국내ㆍ외 정책 및 제도 1.1 국내 정책 및 제도 1.1.1 중앙정부의 기후변화 관련정책 및 제도 1.1.2 기후변화 대응 법제 검토 1.1.3 지방정부 정책 및 제도 1.2 국외 정책 및 제도 1.2.1 EU(유럽연합) 1.2.2 독일 1.2.3 영국 1.2.4 일본 1.2.5 미국 1.3 국내ㆍ외 정책 및 제도 종합 제2장 기후변화 대응형 평가제도 2.1 국내 성능평가제도 2.1.1 도시관련 평가제도 2.1.2 단지 및 건축관련 평가제도 2.2 국외 성능평가제도 2.2.1 도시관련 평가제도:Green City Index 2.2.2 단지 및 건축관련 평가제도 2.3 국내ㆍ외 성능평가제도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