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Second Home Tourism in Europe : Lifestyle Issues and Policy Responses |
Roca, Zoran |
Routledge |
2016 |
1 |
2 |
Settlements at the Edge : Remote Human Settlements in Developed Nations |
Taylor, Andrew |
EdwardElgarPub |
2016 |
1 |
3 |
도시는 어떻게 삶을 바꾸는가 : 불평등과 고립을 넘어서는 연결망의 힘 = Palaces for the People |
클라이넨버그, 에릭 |
웅진지식하우스 |
2019 |
1 |
4 |
제3의 장소 : 작은 카페, 서점, 동네 술집까지 삶을 떠받치는 어울림의 장소를 복원하기 = The Great Good Place |
올든버그, 레이 |
풀빛 |
2019 |
1 |
5 |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국가전략 : DIME 분석과 삼벌 구상 |
조성렬 |
백산서당 |
2021 |
1 |
6 |
요즘 애들 : 최고 학력을 쌓고 제일 많이 일하지만 가장 적게 버는 세대 |
피터슨, 앤 헬렌 |
알에이치코리아 |
2021 |
1 |
7 |
(중국의 국토 및 지역 발전계획) 전국주체기능구계획 2010~2020 / 국가신형도시화계획 2014~2020 |
중국 국무원 |
국토연구원 |
2020 |
1 |
8 |
(균형발전을 위한#2 정책연구협의회)지방의 눈으로 국가균형발전정책 바라보기 |
국토연구원 |
국토연구원 |
2020 |
1 |
9 |
(균형발전을 위한#1 정책연구협의회)지방의 눈으로 국가균형발전정책 바라보기 |
국토연구원 |
국토연구원 |
2020 |
1 |
10 |
관행적 지역균형발전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 모색을 위한 지역정책론의 해체와 재구성 |
김용웅 |
국토연구원 |
2020 |
1 |
11 |
일본의 국토 및 지역발전계획 :국토형성계획(전국계획), 마을·사람·일자리 창생 총합전략2017, 마을·사람·일자리 창생 기본방침 2018 |
제5차국토종합계획연구단 |
국토연구원 |
2019 |
1 |
12 |
현대 북한의 식량난과 협동농장 개혁 =Contemporary Food Shortage of North Korea and Refrom of Collective Farm |
남성욱 |
한울아카데미 |
2016 |
1 |
13 |
GIS와 도시분석 =GIS for urban spatial analysis |
오규식 |
한울아카데미 |
2013 |
1 |
14 |
도시정의론과 공유도시 |
곽노완 |
라움 |
2016 |
1 |
15 |
왜 지금 지리학인가 :슈퍼바이러스의 확산, 거대 유럽의 위기, IS의 출현까지 혼돈의 세계정세를 꿰뚫는 공간적 사유의 힘 |
데 블레이, 하름 |
사회평론 |
2015 |
1 |
16 |
국토 및 지역발전정책의 평가와 효율적 추진방안 연구 =Evaluation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National Territorial and Regional Development Policy |
권영섭 |
국토연구원 |
2012 |
1 |
17 |
GIS 원리와 활용 |
박형동 |
시그마프레스 |
2010 |
1 |
18 |
ArcGIS 이해와 활용 |
윤정미 |
기문당 |
2009 |
1 |
19 |
도시의 기억 |
고종석 |
개마고원 |
2008 |
1 |
20 |
현대 공간이론의 사상가들 = Pioneers in modern theories |
국토연구원 |
한울 |
2005 |
1 |
21 |
주거복지백서 :주택정책의 계층성 평가를 중심으로 |
대한주택공사 |
대한주택공사 |
2002 |
1 |
22 |
정보도시 :정보기술의 정치경제학 |
카스텔, 마뉴엘 |
한울 |
2001 |
1 |
23 |
남북한 경제구조의 기원과 전개 :북한 농업체제의 형성을 중심으로 |
김성보 |
역사비평사 |
200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