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 간 사 ⅰ
서 문 ⅲ
요 약 ⅴ
제 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3. 연구의 흐름 5
제 2장 인구이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인구이동 연구에 대한 철학적 배경과 접근방법 9
1) 신고전적 접근방법 10
2) 행태주의적 접근방법 11
3) 제도주의적 접근방법 12
4) 구조주의적 접근방법 13
2. 거시적 인구이동 모델 13
1) 중력모델과 중력모델의 수정 14
2) 신고전적 인구이동 모델 25
3. 미시적 인구이동 모델 30
1) 인적자본이론에 기초한 비용-편익 모델 30
2) 소비동기이론에 기초한 헤도닉 인구이동 모델 34
3) 인구이동 의사결정 모델 36
제 3장 인구이동 관련 선행연구 고찰
1. 외국의 인구이동 관련 선행연구 41
1) 개인적 특성에 따른 인구이동 성향 42
2) 인구이동 유발 요인 49
3) 전입과 전출과의 관계 60
2. 국내의 인구이동 관련 선행연구 63
1) 시기별 인구이동의 연구동향 63
2) 거시적 접근방법을 통한 인구이동 분석 70
3) 미시적 접근방법을 통한 인구이동 분석 77
제 4장 우리나라 인구이동의 특성
1. 전국의 인구이동 현황 83
2.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 89
3. 수도권 내에서의 인구이동 95
제 5장 거시적 관점에서의 인구이동 모델 구축 및 실증 분석
1. 중력모델을 이용한 인구이동 분석 109
2. 회귀모델을 이용한 인구이동 분석 114
1) 인구이동에 영향을 주는 변수 선정 114
2) 설명변수들의 합성화 118
3) 회귀분석을 통한 인구이동 모델 추정 결과 129
3. 공간계량모델을 이용한 인구이동 분석 135
4.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인구이동 분석 143
1) 구조방정식 모형 구축 143
2) 경로분석을 통한 모형 구축 147
제 6장 미시적 관점에서의 인구이동 모델 구축 및 실증 분석
1. 미시적 인구이동 모형 구축 161
1) 데이터베이스 구축 161
2) 선택확률모형 166
2. 이주선택확률모형을 이용한 인구이동 분석 167
3. 목적지 선택확률모형을 이용한 인구이동 분석 171
1) 5년전 거주지가 서울인 가구주의 목적지 선택확률모형 172
2) 5년전 거주지가 수도권인 가구주의 목적지 선택확률모형 175
3) 5년전 거주지가 비수도권인 가구주의 목적지 선택확률모형 178
제 7장 미시-거시 모형을 통합화한 인구이동 확장모형 구축 및 실증 분석
1. 인구이동 확장모형의 개념적 틀 183
2. 출발지와 목적지간의 매력도 차이 분석 186
3. 미시-거시적 접근을 통합화한 인구이동 확장모형 분석 189
1) 5년전 거주지가 서울인 가구주의 인구이동 확장모형 191
2) 5년전 거주지가 수도권인 가구주의 인구이동 확장모형 193
3) 5년전 거주지가 비수도권인 가구주의 인구이동 확장모형 196
제 8장 결론
1. 연구의 특징과 한계 199
1) 연구의 특징 199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201
참 고 문 헌 203
서 문 ⅲ
요 약 ⅴ
제 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3. 연구의 흐름 5
제 2장 인구이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인구이동 연구에 대한 철학적 배경과 접근방법 9
1) 신고전적 접근방법 10
2) 행태주의적 접근방법 11
3) 제도주의적 접근방법 12
4) 구조주의적 접근방법 13
2. 거시적 인구이동 모델 13
1) 중력모델과 중력모델의 수정 14
2) 신고전적 인구이동 모델 25
3. 미시적 인구이동 모델 30
1) 인적자본이론에 기초한 비용-편익 모델 30
2) 소비동기이론에 기초한 헤도닉 인구이동 모델 34
3) 인구이동 의사결정 모델 36
제 3장 인구이동 관련 선행연구 고찰
1. 외국의 인구이동 관련 선행연구 41
1) 개인적 특성에 따른 인구이동 성향 42
2) 인구이동 유발 요인 49
3) 전입과 전출과의 관계 60
2. 국내의 인구이동 관련 선행연구 63
1) 시기별 인구이동의 연구동향 63
2) 거시적 접근방법을 통한 인구이동 분석 70
3) 미시적 접근방법을 통한 인구이동 분석 77
제 4장 우리나라 인구이동의 특성
1. 전국의 인구이동 현황 83
2.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 89
3. 수도권 내에서의 인구이동 95
제 5장 거시적 관점에서의 인구이동 모델 구축 및 실증 분석
1. 중력모델을 이용한 인구이동 분석 109
2. 회귀모델을 이용한 인구이동 분석 114
1) 인구이동에 영향을 주는 변수 선정 114
2) 설명변수들의 합성화 118
3) 회귀분석을 통한 인구이동 모델 추정 결과 129
3. 공간계량모델을 이용한 인구이동 분석 135
4.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인구이동 분석 143
1) 구조방정식 모형 구축 143
2) 경로분석을 통한 모형 구축 147
제 6장 미시적 관점에서의 인구이동 모델 구축 및 실증 분석
1. 미시적 인구이동 모형 구축 161
1) 데이터베이스 구축 161
2) 선택확률모형 166
2. 이주선택확률모형을 이용한 인구이동 분석 167
3. 목적지 선택확률모형을 이용한 인구이동 분석 171
1) 5년전 거주지가 서울인 가구주의 목적지 선택확률모형 172
2) 5년전 거주지가 수도권인 가구주의 목적지 선택확률모형 175
3) 5년전 거주지가 비수도권인 가구주의 목적지 선택확률모형 178
제 7장 미시-거시 모형을 통합화한 인구이동 확장모형 구축 및 실증 분석
1. 인구이동 확장모형의 개념적 틀 183
2. 출발지와 목적지간의 매력도 차이 분석 186
3. 미시-거시적 접근을 통합화한 인구이동 확장모형 분석 189
1) 5년전 거주지가 서울인 가구주의 인구이동 확장모형 191
2) 5년전 거주지가 수도권인 가구주의 인구이동 확장모형 193
3) 5년전 거주지가 비수도권인 가구주의 인구이동 확장모형 196
제 8장 결론
1. 연구의 특징과 한계 199
1) 연구의 특징 199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201
참 고 문 헌 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