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사
처음에
[서장] 깨진독의 구멍을 막는다 - 지역에서 소득유출이 심각
1.왜 지역소득은 늘어나지 않는가? - 유출에 주목할 필요성
2.지역의 돈 흐름을 훑어본다 - 주민소득분이 그대로 지역 밖으로
3.지역에서 소비와 생산하는 비율은? - 역내순환을 높이면 소득총액이 늘어난다
4.지역내 경제순환을 측정하는 잣대 - LM3(지역내승수3)개념
5.이 책의 구성 - 새로운 순환경제를 향하여
《컬럼》분야를 횡단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기관 소개
[제1장] 지역경제순황분석 프로젝트 소개 - 인구·경제·환경의 종합지속성으로
1.환경대책이 왜 걸리적거리는가? - 인구·경제·환경정책이 '함께가기'
2.지역에서 조사과정과 인구안정화 비전
3.LM3 지수산출과정과 조사절차 -소비·유통·생산의 3단계로 추정
4.미즈호 지구의 지역경제순환(1) - 구입편
5.미즈호 지구의 지역경제순환(2) - 판매·전체 소득편
6.미즈호 지구의 지역경제순환(3) - 지역내외에서의 소득편과 LM3계산
《컬럼》지역경제순환분석에서 보여준 것
[제2장] '지역판가계조사'로 중산간지역의 삶과 경제를 구축한다
1.작은 단위에서의 가계조사는 삶과 지역만들기에 필요
2.중산간지역의 가계특성과 삶의 모습
3.지역판가계조사 데이터를 지역경제순환조사에 활용 - 식료, 연료부문의 소득유출과 재유입 가능성
4.지역판가계조사 데이터를 교육분야에 활용 - 고교통폐합이 세대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시뮬레이션
5. 지역판가계조사 데이터를 정주분야에 활용 - 정착을 향한 가계꾸리기 지원
6.지역판가계조사 추진방법과 포인트
《컬럼》일하는 방식과 가족시간, 그리고 지역경제순환
[제3장] 식료품을 지역생산·지역소비하여 소득을 되돌린다
1.이케다쵸에서 식료품의 지역생산·지역소비 현황 - 마을 전체상황과 가계조사에서 알 수 있는 것
2.채소와 빵, 지역에서 만들면 이만큼 다르다
3.농가,음식점,복지시설에서 돈의 흐름
4.슈퍼마켓,편의점,산지직판장에서 돈의 흐름
5.이케다쵸에서 식료품관련 소득흐름 - 유출된 소득에 관심을 둔다
6.식료품을 지역생산·지역소비하여 소득 되돌리기 - 역내구입률과 역내생산율을 높여간다
7.지역생산·지역소비에서 광역생산·광역소비로 진화 - 새로이 광역·횡단·장기적 접근을
《컬럼》가정용 등유를 지역의 땔나무로 바꾼다면
[제4장] 에너지를 지역생산·지역소비하여 소득을 되돌린다 - 목재 바이오매스활용과 지역경제순환
1.지역에너지 수요량을 알아본다
2.지역내 경제순환비중을 측정한다 - 목재 바이오매스 활용시 LM3
3.어느 쪽이 지역에 유리한가? - 대규모집중형 vs 소규모분산형
4.지역공헌도 어디서 차이를 만드나 - 유형별 비교
5.임업 전체의 바람직한 순환강화 - 다단계 이용구조가 필수
6.지역주도의 지역에너지 활용 일본사례 - 마니와 바이오매스발전소
7.주인공으로서 주민투자가 결정적 - 독일사례에서 배운다
《컬럼》바이오매스 에너지와 임업현장
[제5장] 지역의 소비를 바꿔 보다나은 미래만들기 - 나가노현 후지미마치의 사례
1.에너지부문에서 돈의 흐름을 알아본다
2.지역소비의 실태를 알아본다
3.중장기적인 전망을 가지고 지역인구 미래를 그린다
4.역내구입률·생산율의 향상과 전원회귀는 지구 온난화 대책?
5.지역에서 무엇을 어떻게 추진할까?(1) - 새로운 공통가치 창초
6.지역에서 무엇을 어떻게 추진할까?(2) - 역 앞 상점가에서 역내순환을 꾀한다
7.지역에서 무엇을 어떻게 추진할까?(3) - 지역 플랫폼 형성
《컬럼》내발적 발전 - 지역이 '주체성을 갖자'란 무엇을 말하는가
[제6장] 항목 구분없는 포괄결산으로 행복을 뒷받침한다 - 지역 통째로 공생과 최적화로
1.최대의 '산업'은 사회보장 - 지역 요양비용을 밝힌다
2.요양비용 군살이 정말로 없는 지역은 어디? - 지역 건강도를 금액으로 환산해보자
3.작은 일거리를 얽어내는 사회기술 - 역할과 담당이 건강을 만들어낸다
4.'포괄결산' 추진 - 교통적자를 복지로 되돌린다
5.포괄결산으로 대응한 사례
6.다분야 합체기술로 일자리 창출 - 통합 대응을 위한 종합법인 조직을 만든다
《컬럼》'반농반X'로 정착실현 - 시마네현의 도전
[제7장] 순환경제로 진화한다 -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만드는 30년 구상플랜
1.지역에 순환거점을 만든다 - 기본적인 '순환자치구'설정과 '작은거점'
2.지방도시권을 다중순환으로 재생한다 -'작은거점'을 연결하는 광역거점과 네트워크
3.신교통시스템에 의한 시뮬레이션 - '공유차량'으로 마을에서 지방도시 중심부까지
4.30년에 걸쳐 '순환경제'로 전환 - 인구안정화·자원육성·인프라갱신
5.포괄적으로 다중진화를 생각한다 - 어디서부터 손을 대고 넓혀나갈 것인가
6.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만드는 30년 장기구상 플랜
마지막에 - 느긋하게 이어지는 시대의 주인공은 지역주민
용어해설
처음에
[서장] 깨진독의 구멍을 막는다 - 지역에서 소득유출이 심각
1.왜 지역소득은 늘어나지 않는가? - 유출에 주목할 필요성
2.지역의 돈 흐름을 훑어본다 - 주민소득분이 그대로 지역 밖으로
3.지역에서 소비와 생산하는 비율은? - 역내순환을 높이면 소득총액이 늘어난다
4.지역내 경제순환을 측정하는 잣대 - LM3(지역내승수3)개념
5.이 책의 구성 - 새로운 순환경제를 향하여
《컬럼》분야를 횡단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기관 소개
[제1장] 지역경제순황분석 프로젝트 소개 - 인구·경제·환경의 종합지속성으로
1.환경대책이 왜 걸리적거리는가? - 인구·경제·환경정책이 '함께가기'
2.지역에서 조사과정과 인구안정화 비전
3.LM3 지수산출과정과 조사절차 -소비·유통·생산의 3단계로 추정
4.미즈호 지구의 지역경제순환(1) - 구입편
5.미즈호 지구의 지역경제순환(2) - 판매·전체 소득편
6.미즈호 지구의 지역경제순환(3) - 지역내외에서의 소득편과 LM3계산
《컬럼》지역경제순환분석에서 보여준 것
[제2장] '지역판가계조사'로 중산간지역의 삶과 경제를 구축한다
1.작은 단위에서의 가계조사는 삶과 지역만들기에 필요
2.중산간지역의 가계특성과 삶의 모습
3.지역판가계조사 데이터를 지역경제순환조사에 활용 - 식료, 연료부문의 소득유출과 재유입 가능성
4.지역판가계조사 데이터를 교육분야에 활용 - 고교통폐합이 세대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시뮬레이션
5. 지역판가계조사 데이터를 정주분야에 활용 - 정착을 향한 가계꾸리기 지원
6.지역판가계조사 추진방법과 포인트
《컬럼》일하는 방식과 가족시간, 그리고 지역경제순환
[제3장] 식료품을 지역생산·지역소비하여 소득을 되돌린다
1.이케다쵸에서 식료품의 지역생산·지역소비 현황 - 마을 전체상황과 가계조사에서 알 수 있는 것
2.채소와 빵, 지역에서 만들면 이만큼 다르다
3.농가,음식점,복지시설에서 돈의 흐름
4.슈퍼마켓,편의점,산지직판장에서 돈의 흐름
5.이케다쵸에서 식료품관련 소득흐름 - 유출된 소득에 관심을 둔다
6.식료품을 지역생산·지역소비하여 소득 되돌리기 - 역내구입률과 역내생산율을 높여간다
7.지역생산·지역소비에서 광역생산·광역소비로 진화 - 새로이 광역·횡단·장기적 접근을
《컬럼》가정용 등유를 지역의 땔나무로 바꾼다면
[제4장] 에너지를 지역생산·지역소비하여 소득을 되돌린다 - 목재 바이오매스활용과 지역경제순환
1.지역에너지 수요량을 알아본다
2.지역내 경제순환비중을 측정한다 - 목재 바이오매스 활용시 LM3
3.어느 쪽이 지역에 유리한가? - 대규모집중형 vs 소규모분산형
4.지역공헌도 어디서 차이를 만드나 - 유형별 비교
5.임업 전체의 바람직한 순환강화 - 다단계 이용구조가 필수
6.지역주도의 지역에너지 활용 일본사례 - 마니와 바이오매스발전소
7.주인공으로서 주민투자가 결정적 - 독일사례에서 배운다
《컬럼》바이오매스 에너지와 임업현장
[제5장] 지역의 소비를 바꿔 보다나은 미래만들기 - 나가노현 후지미마치의 사례
1.에너지부문에서 돈의 흐름을 알아본다
2.지역소비의 실태를 알아본다
3.중장기적인 전망을 가지고 지역인구 미래를 그린다
4.역내구입률·생산율의 향상과 전원회귀는 지구 온난화 대책?
5.지역에서 무엇을 어떻게 추진할까?(1) - 새로운 공통가치 창초
6.지역에서 무엇을 어떻게 추진할까?(2) - 역 앞 상점가에서 역내순환을 꾀한다
7.지역에서 무엇을 어떻게 추진할까?(3) - 지역 플랫폼 형성
《컬럼》내발적 발전 - 지역이 '주체성을 갖자'란 무엇을 말하는가
[제6장] 항목 구분없는 포괄결산으로 행복을 뒷받침한다 - 지역 통째로 공생과 최적화로
1.최대의 '산업'은 사회보장 - 지역 요양비용을 밝힌다
2.요양비용 군살이 정말로 없는 지역은 어디? - 지역 건강도를 금액으로 환산해보자
3.작은 일거리를 얽어내는 사회기술 - 역할과 담당이 건강을 만들어낸다
4.'포괄결산' 추진 - 교통적자를 복지로 되돌린다
5.포괄결산으로 대응한 사례
6.다분야 합체기술로 일자리 창출 - 통합 대응을 위한 종합법인 조직을 만든다
《컬럼》'반농반X'로 정착실현 - 시마네현의 도전
[제7장] 순환경제로 진화한다 -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만드는 30년 구상플랜
1.지역에 순환거점을 만든다 - 기본적인 '순환자치구'설정과 '작은거점'
2.지방도시권을 다중순환으로 재생한다 -'작은거점'을 연결하는 광역거점과 네트워크
3.신교통시스템에 의한 시뮬레이션 - '공유차량'으로 마을에서 지방도시 중심부까지
4.30년에 걸쳐 '순환경제'로 전환 - 인구안정화·자원육성·인프라갱신
5.포괄적으로 다중진화를 생각한다 - 어디서부터 손을 대고 넓혀나갈 것인가
6.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만드는 30년 장기구상 플랜
마지막에 - 느긋하게 이어지는 시대의 주인공은 지역주민
용어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