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물류중점도로 해외 사례 및 시사점
1. 도로 물류운송의 현황과 정책과제
2. 해외 물류중점도로 정책추진 사례조사
3. 국내 물류중점도로 추진을 위한 정책방향
제2장 뉴욕시 그린뉴딜 정책 및 시사점
1. 서론
2. 뉴욕시의 그린뉴딜 추진 배경
3. 그린뉴딜 장기 전략계획: OneNYC 2050
4. 그린뉴딜법 : 뉴욕시
5. 결론 및 시사점
제3장 우리나라 대도시의 영양권 분석, 2010-2017
1. 도시체계 내 도시 영향권의 이해
2. 우리나라 대도시의 영향권과 그 변화
3. 정책적 시사점 및 향후 과제
제4장 미세먼지 농도의 시공간적 분포 현황 및 잠재영향인자 고찰
1. 서론
2. 미세먼지의 시공간적 분포 현황
3. 미세먼지의 발생의 잠재영향인자 고찰
4. 결론 및 정책제언
제5장 친환경차시대를 대비한 교통세제 개편 사례 연구
1. 친환경차시대의 도래
2. 친환경차시대와 국내 교통세제 문제점
3. 친환경차시대와 해외 교통세제 개편 사례
4. 친환경차시대 교통세제 개편 방안 검토
5. 결론 및 정책제언
제6장 민관협력을 통한 빈집 관리 및 활용 사례 연구
1. 빈집 이슈와 민관협력의 필요성
2. 인천 미추홀구 빈집은행의 빈집 관리활용 사례
3. 민관협력을 통한 빈집 관리활용 방안
4. 정책제언
제7장 서울시 상권분석 시스템을 통한 젠트리피케이션의 정책적 대응
1. 젠트리피케이션 진단과 정책적 대응 필요성
2. 젠트리피케이션 진단체계 개발
3.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 진단 결과
4. 정책제언
제8장 2040년 장래인구 분포 전망 연구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소지역 단위 장래인구 전망 사례 검토
3. 격자 단위 장래인구 분포 전망 방법론
4. 2040년 국토의 장래인구 분포 전망
5. 정책제언 및 향후 연구방향
제9장 도시재생 광역지원센터의 역할정립 방안
1. 도시재생 광역지원센터 역할정립 필요성
2. 도시재생 광역지원센터 관련 법제도 현황
3. 도시재생 광역지원센터 설립 및 운영 현황
4. 도시재생 광역지원센터 역할 탐색
5. 도시재생 광역지원센터 역할 제안
6. 정책제언
제10장 그린 뉴딜(Green New Deal) 시사점과 한국사회 적용
1. 다시 부상한 미국의 그린 뉴딜
2. 한국사회 그린 뉴딜의 필요성
3. 오바마와 이명박 정부 그린 뉴딜 비교
4. 도시재생 광역지원센터 역할 탐색
5. 결론
제11장 OECD TiVA 자료를 활용한 글로벌 가치사슬 분석
1. 서론
2. 연구방법 및 주요개념
3. 전자산업 글로벌 가치사슬 분석
4. 요약 및 결론
제12장 광역권 설정을 위한 요인분석과 군집분석방법 장단점 비교
1. 광역권 설정기준 마련을 위한 분석방법 비교의 필요성
2.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이용한 광역권 분석방법
3.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통한 충청권 광역권 분석결과
4. 요인분석과 군집분석 방법의 장단점 비교와 정책적 시사점
제13장 신도시형 혁신도시 유입가구의 특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1. 서론
2. 혁신도시 개괄 및 분석대상 도시 개요
3. 유입인구 특성 분석
4. 가구 이동 특성 분석
5. 분석의 종합 및 정책적 시사점
제14장 부동산 유동화 수단으로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가능성 연구
1. 서론
2. 블록체인 기술의 개념과 장점
3. 부동산 토큰화 구조 분해: 스마트 계약과 증권형 토큰
4. 부동산 토큰화 해외사례
5. 구분소유권을 중심으로 본 해외사례 시사점
6. 블록체인 기술의 정책적 활용
제15장 오버투어리즘으로 인한 지역공동체 갈등 해결 사례연구
1. 서론
2. 오버투어리즘의 이해
3. 감천문화마을의 주민주도 사업 협력적 거버넌스와 시사점
4. 장첵제언
제16장 홍콩과 일본 사례를 통해 살펴본 도시정비사업의
공공관리 확대방안
1. 서론
2. 국내 도시정비사업 문제점 및 공공관리제도의 실태분석
3. 홍콩의 도시재개발(정비사업) 위원회 제도
4. 일본의 정비사업 코디네이터 지원제도
5. 정책
제17장 도시재생 거점시설 역할을 위한 생활SOC 복합화 방안
1. 서론
2. 생활SOC 복합화 정책 추진 현황
3. 생활SOC 복합화 사례 분석
4. 접근성 개념을 활용한 생활SOC 복합화 과정
5. 정책제언
제18장 실거래 데이터와 GIS를 활용한 아파트 가격 및 거래량 변화분석
1. 서론
2. 수도권 아파트 실거래 가격 기초통계분석
3. 아파트 가격의 공간상 패턴 변화 분석
4. 결론
제19장 주거실태조사를 통해 본 최근 10년(2008~2018)간
주거양극화 추이
1. 서론
2. 주거양극화의 정의와 측정방법
3. 최근 10년 주거양극화 추이
4. 주거 상하위계층별 특성 변화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1. 도로 물류운송의 현황과 정책과제
2. 해외 물류중점도로 정책추진 사례조사
3. 국내 물류중점도로 추진을 위한 정책방향
제2장 뉴욕시 그린뉴딜 정책 및 시사점
1. 서론
2. 뉴욕시의 그린뉴딜 추진 배경
3. 그린뉴딜 장기 전략계획: OneNYC 2050
4. 그린뉴딜법 : 뉴욕시
5. 결론 및 시사점
제3장 우리나라 대도시의 영양권 분석, 2010-2017
1. 도시체계 내 도시 영향권의 이해
2. 우리나라 대도시의 영향권과 그 변화
3. 정책적 시사점 및 향후 과제
제4장 미세먼지 농도의 시공간적 분포 현황 및 잠재영향인자 고찰
1. 서론
2. 미세먼지의 시공간적 분포 현황
3. 미세먼지의 발생의 잠재영향인자 고찰
4. 결론 및 정책제언
제5장 친환경차시대를 대비한 교통세제 개편 사례 연구
1. 친환경차시대의 도래
2. 친환경차시대와 국내 교통세제 문제점
3. 친환경차시대와 해외 교통세제 개편 사례
4. 친환경차시대 교통세제 개편 방안 검토
5. 결론 및 정책제언
제6장 민관협력을 통한 빈집 관리 및 활용 사례 연구
1. 빈집 이슈와 민관협력의 필요성
2. 인천 미추홀구 빈집은행의 빈집 관리활용 사례
3. 민관협력을 통한 빈집 관리활용 방안
4. 정책제언
제7장 서울시 상권분석 시스템을 통한 젠트리피케이션의 정책적 대응
1. 젠트리피케이션 진단과 정책적 대응 필요성
2. 젠트리피케이션 진단체계 개발
3.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 진단 결과
4. 정책제언
제8장 2040년 장래인구 분포 전망 연구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소지역 단위 장래인구 전망 사례 검토
3. 격자 단위 장래인구 분포 전망 방법론
4. 2040년 국토의 장래인구 분포 전망
5. 정책제언 및 향후 연구방향
제9장 도시재생 광역지원센터의 역할정립 방안
1. 도시재생 광역지원센터 역할정립 필요성
2. 도시재생 광역지원센터 관련 법제도 현황
3. 도시재생 광역지원센터 설립 및 운영 현황
4. 도시재생 광역지원센터 역할 탐색
5. 도시재생 광역지원센터 역할 제안
6. 정책제언
제10장 그린 뉴딜(Green New Deal) 시사점과 한국사회 적용
1. 다시 부상한 미국의 그린 뉴딜
2. 한국사회 그린 뉴딜의 필요성
3. 오바마와 이명박 정부 그린 뉴딜 비교
4. 도시재생 광역지원센터 역할 탐색
5. 결론
제11장 OECD TiVA 자료를 활용한 글로벌 가치사슬 분석
1. 서론
2. 연구방법 및 주요개념
3. 전자산업 글로벌 가치사슬 분석
4. 요약 및 결론
제12장 광역권 설정을 위한 요인분석과 군집분석방법 장단점 비교
1. 광역권 설정기준 마련을 위한 분석방법 비교의 필요성
2.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이용한 광역권 분석방법
3.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통한 충청권 광역권 분석결과
4. 요인분석과 군집분석 방법의 장단점 비교와 정책적 시사점
제13장 신도시형 혁신도시 유입가구의 특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1. 서론
2. 혁신도시 개괄 및 분석대상 도시 개요
3. 유입인구 특성 분석
4. 가구 이동 특성 분석
5. 분석의 종합 및 정책적 시사점
제14장 부동산 유동화 수단으로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가능성 연구
1. 서론
2. 블록체인 기술의 개념과 장점
3. 부동산 토큰화 구조 분해: 스마트 계약과 증권형 토큰
4. 부동산 토큰화 해외사례
5. 구분소유권을 중심으로 본 해외사례 시사점
6. 블록체인 기술의 정책적 활용
제15장 오버투어리즘으로 인한 지역공동체 갈등 해결 사례연구
1. 서론
2. 오버투어리즘의 이해
3. 감천문화마을의 주민주도 사업 협력적 거버넌스와 시사점
4. 장첵제언
제16장 홍콩과 일본 사례를 통해 살펴본 도시정비사업의
공공관리 확대방안
1. 서론
2. 국내 도시정비사업 문제점 및 공공관리제도의 실태분석
3. 홍콩의 도시재개발(정비사업) 위원회 제도
4. 일본의 정비사업 코디네이터 지원제도
5. 정책
제17장 도시재생 거점시설 역할을 위한 생활SOC 복합화 방안
1. 서론
2. 생활SOC 복합화 정책 추진 현황
3. 생활SOC 복합화 사례 분석
4. 접근성 개념을 활용한 생활SOC 복합화 과정
5. 정책제언
제18장 실거래 데이터와 GIS를 활용한 아파트 가격 및 거래량 변화분석
1. 서론
2. 수도권 아파트 실거래 가격 기초통계분석
3. 아파트 가격의 공간상 패턴 변화 분석
4. 결론
제19장 주거실태조사를 통해 본 최근 10년(2008~2018)간
주거양극화 추이
1. 서론
2. 주거양극화의 정의와 측정방법
3. 최근 10년 주거양극화 추이
4. 주거 상하위계층별 특성 변화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