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지역자원의 개념과 범주
3) 연구방법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4. 연구추진절차
제2장 중소도시의 지속가능한 통합적 공간관리 개념과 지역활성화 관련 정책의 한계
1. 중소도시 지속가능한 재생의 의미
1) 인구감소로 인한 중소도시의 소멸위기론과 부정적 순환구조
2) 도시축소의 수용적 태도와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형성
3) 지역자원 기반의 경제순환구조 구축
4) 지속가능한 재생전략으로서 지역자원기반의 장소만들기
2. 지역자원기반의 통합적 공간관리의 개념과 의미
1) 지역자원기반의 통합적 공간관리 개념과 ‘도심거점-동네 네트워크’ 모델
2) 지역자원기반의 통합적 공간관리 의미
3. 중소도시 지역활성화 관련 지원정책 및 한계
1) 쇠퇴지역 개선을 위한 지역개발사업 관련 정책 및 지원사업
2) 지역활성화를 위한 패키지형 지원사업 추진 현황
3) 지역활성화 관련 중앙정부 지원사업의 특성
4) 지역활성화 관련 국비지원사업의 한계 및 문제점
제3장 중소도시 지역활성화 관련 사업 추진현황 분석
1. 분석개요
1) 대상지 선정
2) 분석방법 및 과정
2. 지자체 지역활성화사업 현황 분석
1) 지자체 쇠퇴현황
2) 지역자원 활용 현황
3) 거버넌스체계
4) 지역활성화사업 추진실태
3. 중소도시 지역활성화 관련사업 종합분석
1) 지역활성화 사업과 외곽개발사업 동시 진행
2) 다부처 지원사업 추진과 장소중심의 부처 연계사업 미흡
3) 지역자원활용 및 자원의 효율적 배분 미흡
4) 노후주거지 개선을 위한 지원사업 미흡
제4장 지역자원기반의 중소도시 통합적 공간관리 및 정책방안
1. 지역자원기반의 중소도시 통합적 공간관리 방안
1) 중소도시 지속가능한 공간관리를 위한 과제 및 통합적 공간관리의 목표
2) 지역자원기반의 통합적 공간관리 기본방향
3) ‘도시거점-동네 네트워크 모델’ 의 통합적 공간관리계획의 성격 및 수립과정
2. 지역자원기반의 중소도시 통합적 공간관리계획 대안 검토
1) 계획대안 수립 개요
2) 통합적 공간관리 전략 마련을 위한 계획대안 수립 : 경북 영주시
3) 계획대안 수립을 통한 통합적 공간관리 방향 및 과제
3. 지역자원기반의 통합적 공간관리를 위한 정책 및 제도개선 방안
1) 지역자원기반의 통합적 공간관리계획의 수립절차 및 체계
2) 지역자원기반의 통합적 공간관리계획 실행을 위한 국비지원체계 개선 방안
3) 제도개선 및 정책지원방안
제5장 결론
1. 연구성과 및 한계
2. 향후 정책제언 및 추진과제
참고문헌
부록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지역자원의 개념과 범주
3) 연구방법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4. 연구추진절차
제2장 중소도시의 지속가능한 통합적 공간관리 개념과 지역활성화 관련 정책의 한계
1. 중소도시 지속가능한 재생의 의미
1) 인구감소로 인한 중소도시의 소멸위기론과 부정적 순환구조
2) 도시축소의 수용적 태도와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형성
3) 지역자원 기반의 경제순환구조 구축
4) 지속가능한 재생전략으로서 지역자원기반의 장소만들기
2. 지역자원기반의 통합적 공간관리의 개념과 의미
1) 지역자원기반의 통합적 공간관리 개념과 ‘도심거점-동네 네트워크’ 모델
2) 지역자원기반의 통합적 공간관리 의미
3. 중소도시 지역활성화 관련 지원정책 및 한계
1) 쇠퇴지역 개선을 위한 지역개발사업 관련 정책 및 지원사업
2) 지역활성화를 위한 패키지형 지원사업 추진 현황
3) 지역활성화 관련 중앙정부 지원사업의 특성
4) 지역활성화 관련 국비지원사업의 한계 및 문제점
제3장 중소도시 지역활성화 관련 사업 추진현황 분석
1. 분석개요
1) 대상지 선정
2) 분석방법 및 과정
2. 지자체 지역활성화사업 현황 분석
1) 지자체 쇠퇴현황
2) 지역자원 활용 현황
3) 거버넌스체계
4) 지역활성화사업 추진실태
3. 중소도시 지역활성화 관련사업 종합분석
1) 지역활성화 사업과 외곽개발사업 동시 진행
2) 다부처 지원사업 추진과 장소중심의 부처 연계사업 미흡
3) 지역자원활용 및 자원의 효율적 배분 미흡
4) 노후주거지 개선을 위한 지원사업 미흡
제4장 지역자원기반의 중소도시 통합적 공간관리 및 정책방안
1. 지역자원기반의 중소도시 통합적 공간관리 방안
1) 중소도시 지속가능한 공간관리를 위한 과제 및 통합적 공간관리의 목표
2) 지역자원기반의 통합적 공간관리 기본방향
3) ‘도시거점-동네 네트워크 모델’ 의 통합적 공간관리계획의 성격 및 수립과정
2. 지역자원기반의 중소도시 통합적 공간관리계획 대안 검토
1) 계획대안 수립 개요
2) 통합적 공간관리 전략 마련을 위한 계획대안 수립 : 경북 영주시
3) 계획대안 수립을 통한 통합적 공간관리 방향 및 과제
3. 지역자원기반의 통합적 공간관리를 위한 정책 및 제도개선 방안
1) 지역자원기반의 통합적 공간관리계획의 수립절차 및 체계
2) 지역자원기반의 통합적 공간관리계획 실행을 위한 국비지원체계 개선 방안
3) 제도개선 및 정책지원방안
제5장 결론
1. 연구성과 및 한계
2. 향후 정책제언 및 추진과제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