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의 내용
제2장 침수판정을 위한 저류지 모의 프로그램 갭라
2.1 빗물저류지 및 우수 관거 계통에서 지표면 침수 여부 판정 계산 절차 개발
2.2 빗물저류지 계회겡 대한 지표면 침수판정방법의 도구화
제3장 침수판정 및 저류지 규모 산정 프로그램의 실제 사업지구 적용을 통한 적용성 평가 및 검증
3.1 침수판정 및 저류지 규모 산정 프로그램 적용 사업지구 선정 및 입력자료 구축
3.2 침수판정 및 저류지 규모 산정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적용성 평가 및 검증
제4장 도시유출모형 수행에 필요한 입력자료 산정의 고도화 방안 제시
4.1 위성영상등을 이용한 불투수면적 산정 방법 고도화
4.2 GIS기법을 이용한 도시유출모형 입력자료 고도화 검토
4.3 GIS등을 활용한 홍수 유달시간 산정방안 검토
제5장 도시홍수 방어를 위한 도시 수재해 상황인지 기준 제시
5.1 침수 흔적도 및 침수예측지도 제작 현황조사
5.2 침수지도별 강우지속기간 및 강우량 분석
5.3 호우특성을 반영한 GIS 기반 홍수 취약성 평가 방법 개발
5.4 홍수 취약성 지도 작성 및 홍수 취약지구의 침수원인 분석
5.5 홍수 취약지구 내 수위 및 유량 측정 모니터링
5.6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한 수재해 상황인지 기준 제시
제6장 결론
참고문헌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의 내용
제2장 침수판정을 위한 저류지 모의 프로그램 갭라
2.1 빗물저류지 및 우수 관거 계통에서 지표면 침수 여부 판정 계산 절차 개발
2.2 빗물저류지 계회겡 대한 지표면 침수판정방법의 도구화
제3장 침수판정 및 저류지 규모 산정 프로그램의 실제 사업지구 적용을 통한 적용성 평가 및 검증
3.1 침수판정 및 저류지 규모 산정 프로그램 적용 사업지구 선정 및 입력자료 구축
3.2 침수판정 및 저류지 규모 산정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적용성 평가 및 검증
제4장 도시유출모형 수행에 필요한 입력자료 산정의 고도화 방안 제시
4.1 위성영상등을 이용한 불투수면적 산정 방법 고도화
4.2 GIS기법을 이용한 도시유출모형 입력자료 고도화 검토
4.3 GIS등을 활용한 홍수 유달시간 산정방안 검토
제5장 도시홍수 방어를 위한 도시 수재해 상황인지 기준 제시
5.1 침수 흔적도 및 침수예측지도 제작 현황조사
5.2 침수지도별 강우지속기간 및 강우량 분석
5.3 호우특성을 반영한 GIS 기반 홍수 취약성 평가 방법 개발
5.4 홍수 취약성 지도 작성 및 홍수 취약지구의 침수원인 분석
5.5 홍수 취약지구 내 수위 및 유량 측정 모니터링
5.6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한 수재해 상황인지 기준 제시
제6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