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i
제1장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배경 3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범위 및 수행방법 4
1) 연구의 범위 4
2) 주요 연구방법 5
3) 연구의 흐름 6
4.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7
1) 선행연구 현황 7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7
제2장 제로 에너지 스마트 도시의 개념 정립 9
1. 유사 개념 검토 11
1) 스마트 도시 개념 및 분류 11
2) 에너지효율화 및 에너지 저감 20
3) 기존 유사도시 개념 23
2. 제로 에너지 스마트도시의 개념 정립 24
1) 제로 에너지 스마트 도시란? 24
2)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와의 비교 25
제3장 현황분석 및 사례 검토 27
1. 현황분석(5-1생활권) 29
1) 기본현황 29
2) 자연 및 인문현황 33
3) 에너지수요 검토 35
4) 시사점 35
2. 국내 추진 동향 36
1) 친환경에너지타운(‘15년 선정지역) 36
2) 울릉도 친환경 에너지자립섬 43
3) 성남 판교 제로시티 45
4) 건축부문 47
3. 해외 추진 동향 54
1) 도시 및 단지 54
2) 건축부문 88
4. 시사점 94
1) 현황부문 94
2) 국내외 사례 검토 부문 94
제4장 제로 에너지 스마트 도시 조성을 위한 기본구상 95
1. 비전 및 목표 97
2. 세부 조성방향 98
1) 기본방향 98
2) 세부 조성방향 99
3. 부문별 조성기법 102
1) 토지이용공간구조 102
2) 교통부문 104
3) 첨단에너지부문 109
4) 그린빌딩 112
5) 스마트시티 산업 113
4. 에너지부문 특화계획 방향 114
1) 에너지 자립(효율화) 목표 114
2) 에너지 공급 및 수요관리 방향 116
3) 제로 에너지 건축물 적용 방안 123
제5장 제로 에너지 스마트 도시 추진 방안 127
1. 계획 수립 내용 측면 129
1) 기존 계획의 한계 129
2) 계획 수립시 주안점 129
3) 계획 수립시 분야별 주요 필요사항 130
2. 제도 개선방안 133
1) 에너지 통합운영을 위한 제도 개선(안) 133
2) S-Prosumer 추진 133
3. 향후 사업 추진방안 134
1) 도시개발형 비즈니스 모델 134
2) 스마트 그리드형 비즈니스 모델 135
3) 신재생 도입 및 에너지 거래형 비즈니스 모델 136
4) 차세대교통 시스템 활용 비즈니스 모델 137
참고문헌 139
부록 143
제1장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배경 3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범위 및 수행방법 4
1) 연구의 범위 4
2) 주요 연구방법 5
3) 연구의 흐름 6
4.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7
1) 선행연구 현황 7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7
제2장 제로 에너지 스마트 도시의 개념 정립 9
1. 유사 개념 검토 11
1) 스마트 도시 개념 및 분류 11
2) 에너지효율화 및 에너지 저감 20
3) 기존 유사도시 개념 23
2. 제로 에너지 스마트도시의 개념 정립 24
1) 제로 에너지 스마트 도시란? 24
2)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와의 비교 25
제3장 현황분석 및 사례 검토 27
1. 현황분석(5-1생활권) 29
1) 기본현황 29
2) 자연 및 인문현황 33
3) 에너지수요 검토 35
4) 시사점 35
2. 국내 추진 동향 36
1) 친환경에너지타운(‘15년 선정지역) 36
2) 울릉도 친환경 에너지자립섬 43
3) 성남 판교 제로시티 45
4) 건축부문 47
3. 해외 추진 동향 54
1) 도시 및 단지 54
2) 건축부문 88
4. 시사점 94
1) 현황부문 94
2) 국내외 사례 검토 부문 94
제4장 제로 에너지 스마트 도시 조성을 위한 기본구상 95
1. 비전 및 목표 97
2. 세부 조성방향 98
1) 기본방향 98
2) 세부 조성방향 99
3. 부문별 조성기법 102
1) 토지이용공간구조 102
2) 교통부문 104
3) 첨단에너지부문 109
4) 그린빌딩 112
5) 스마트시티 산업 113
4. 에너지부문 특화계획 방향 114
1) 에너지 자립(효율화) 목표 114
2) 에너지 공급 및 수요관리 방향 116
3) 제로 에너지 건축물 적용 방안 123
제5장 제로 에너지 스마트 도시 추진 방안 127
1. 계획 수립 내용 측면 129
1) 기존 계획의 한계 129
2) 계획 수립시 주안점 129
3) 계획 수립시 분야별 주요 필요사항 130
2. 제도 개선방안 133
1) 에너지 통합운영을 위한 제도 개선(안) 133
2) S-Prosumer 추진 133
3. 향후 사업 추진방안 134
1) 도시개발형 비즈니스 모델 134
2) 스마트 그리드형 비즈니스 모델 135
3) 신재생 도입 및 에너지 거래형 비즈니스 모델 136
4) 차세대교통 시스템 활용 비즈니스 모델 137
참고문헌 139
부록 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