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준비단계(Preliminaries)
1장 ‘질문’에 대한 질문 3
2장 이상적인 실험 13
2.1 선택편의 문제 14
2.2 무작위 배정은 선택편의 문제를 해결한다 18
2.3 실험 자료에 대한 회귀분석 26
제2부 핵심(Core)
3장 이치에 맞는 회귀분석 구성 31
3.1 회귀분석의 근본 원칙 33
3.2 회귀모형과 인과관계 59
3.3 이분산성과 비선형성 79
3.4 회귀모형에 대한 세부사항 105
3.5 부록: 평균 도함수 가중 함수 유도방법 127
4장 도구변수(IV) 사용법: 때때로 당신에게 필요한 것을 얻는다 129
4.1 도구변수(IV)와 인과관계 131
4.2 점근적 2SLS 추론 158
4.3 2-표본 IV와 분할-표본 IV 166
4.4 잠재성과가 이질적인 경우의 IV 170
4.5 LATE의 일반화 197
4.6 IV 세부사항 214
4.7 부록 245
5장 평행세계: 고정효과, 이중차분, 그리고 패널 자료 251
5.1 개인 고정효과 252
5.2 이중차분법: 사전과 사후, 처치와 통제 258
5.3 고정효과와 시차 종속변수 276
5.4 부록: 고정효과와 시차 종속변수에 관한 추가사항 280
제3부 논의의 확장(Extensions)
6장 작은 변동: 회귀단절 모형 285
6.1 계단형 RD 286
6.2 경사형 RD는 도구변수이다 295
7장 분위회귀법 307
7.1 분위회귀모형 309
7.2 분위 처치효과의 IV 추정 324
8장 표준적이지 않은 표준 오차들 335
8.1 강건한 표준 오차 추정치의 편의 337
8.2 패널자료에서 군집화와 계열상관 353
8.3 부록: 단순 Moulton 요인 유도방법 370
1장 ‘질문’에 대한 질문 3
2장 이상적인 실험 13
2.1 선택편의 문제 14
2.2 무작위 배정은 선택편의 문제를 해결한다 18
2.3 실험 자료에 대한 회귀분석 26
제2부 핵심(Core)
3장 이치에 맞는 회귀분석 구성 31
3.1 회귀분석의 근본 원칙 33
3.2 회귀모형과 인과관계 59
3.3 이분산성과 비선형성 79
3.4 회귀모형에 대한 세부사항 105
3.5 부록: 평균 도함수 가중 함수 유도방법 127
4장 도구변수(IV) 사용법: 때때로 당신에게 필요한 것을 얻는다 129
4.1 도구변수(IV)와 인과관계 131
4.2 점근적 2SLS 추론 158
4.3 2-표본 IV와 분할-표본 IV 166
4.4 잠재성과가 이질적인 경우의 IV 170
4.5 LATE의 일반화 197
4.6 IV 세부사항 214
4.7 부록 245
5장 평행세계: 고정효과, 이중차분, 그리고 패널 자료 251
5.1 개인 고정효과 252
5.2 이중차분법: 사전과 사후, 처치와 통제 258
5.3 고정효과와 시차 종속변수 276
5.4 부록: 고정효과와 시차 종속변수에 관한 추가사항 280
제3부 논의의 확장(Extensions)
6장 작은 변동: 회귀단절 모형 285
6.1 계단형 RD 286
6.2 경사형 RD는 도구변수이다 295
7장 분위회귀법 307
7.1 분위회귀모형 309
7.2 분위 처치효과의 IV 추정 324
8장 표준적이지 않은 표준 오차들 335
8.1 강건한 표준 오차 추정치의 편의 337
8.2 패널자료에서 군집화와 계열상관 353
8.3 부록: 단순 Moulton 요인 유도방법 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