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 간 사 i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ⅲ
요 약 ⅳ
제I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1
2) 연구 목적 2
2. 연구의 틀 3
1) 주요 연구내용 3
2) 연구 흐름도 4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1) 연구범위 5
2) 연구방법 5
4.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6
1) 선행연구 현황 6
2)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 7
5. 연구의 기대효과 8
제II장 주거복지 평가지표의 개념과 유형 11
1. 주거복지의 개념 11
1) 주거복지 11
2) 주거서비스 13
3) 보편적 주거복지의 조작적 정의 14
2. 주거 및 주거환경의 기본 속성 20
1) 주거복지 속성 관련 선행연구 20
2) 보편적 주거복지를 정의하기 위한 속성 선정 21
3) 주택과 주거환경 속성에 대한 조작적 정의 26
제III장 기존 주거복지 평가지표의 실태와 문제점 29
1. 주거복지 평가지표의 유형과 특성 29
1) 정책평가를 위한 지표 29
2) 주거복지 수준 파악을 위해서 생산하는 지표 36
3) 주택시장지표 41
4) 주택금융시장지표 43
5) 그 외 주택 현황 파악을 위해 생산하는 지표 45
2. 기존 주거복지 관련지표의 의의 및 한계점 45
3. 우리나라 주거복지 평가지표의 활용실태 및 문제점 50
1) 전반적인 주거복지 평가지표의 활용현황과 문제점 50
2) 주택종합계획의 활용실태와 문제점 51
3) 최저주거기준의 활용실태와 문제점 52
4) 농어촌서비스기준의 활용실태와 문제점 54
5) 기타 지표 활용실태와 문제점 55
제Ⅳ장 외국의 주거복지 평가지표 59
1. 미국의 주거복지 평가지표 분석 59
1) 주거복지정책 59
2) 미국주택조사 68
3) 주거 평가지표 71
2. 영국의 주거 평가지표 81
1) 주택정책 81
2) 주택조사 86
3) 주거 평가지표 86
3. 외국 사례의 시사점 91
제Ⅴ장 국민체감형 주거복지 평가지표 개발 99
1. 새로운 주거복지 평가지표의 개발 방향 및 개발과정 99
1) 개발 방향 99
2) 개발과정 100
2. 새로운 지표의 분류 항목 101
1) 주택 101
2) 주거환경 104
3. 주거복지 평가지표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112
1) 체감형 주거복지 평가지표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개요 112
2) 체감형 주거복지 평가지표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분석방법 113
3) 분석 결과 115
4. 기존의 주거복지 평가지표와 새로운 주거복지 평가지표 126
1) 정책지표의 개선방안 126
2) 새로운 국민체감형 주거복지 평가지표 129
제Ⅵ장 국민체감형 주거복지 평가지표 활용 139
1. 국민의 주거복지 정책목표 설정 139
2. 국민의 주거복지 수준을 감안한 정책 대상 발굴 150
1) 취약계층 선정에 새로운 주거복지 평가지표 활용 150
2) 계층별로 취약한 주거 파악에 새로운 주거복지 평가지표 활용 154
제Ⅶ장 결론 175
1. 연구의 결론 및 정책 제언 175
2. 연구의 성과와 향후 과제 183
1) 연구의 성과 183
2) 향후 과제 184
참고문헌 187
SUMMARY 193
부록 195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ⅲ
요 약 ⅳ
제I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1
2) 연구 목적 2
2. 연구의 틀 3
1) 주요 연구내용 3
2) 연구 흐름도 4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1) 연구범위 5
2) 연구방법 5
4.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6
1) 선행연구 현황 6
2)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 7
5. 연구의 기대효과 8
제II장 주거복지 평가지표의 개념과 유형 11
1. 주거복지의 개념 11
1) 주거복지 11
2) 주거서비스 13
3) 보편적 주거복지의 조작적 정의 14
2. 주거 및 주거환경의 기본 속성 20
1) 주거복지 속성 관련 선행연구 20
2) 보편적 주거복지를 정의하기 위한 속성 선정 21
3) 주택과 주거환경 속성에 대한 조작적 정의 26
제III장 기존 주거복지 평가지표의 실태와 문제점 29
1. 주거복지 평가지표의 유형과 특성 29
1) 정책평가를 위한 지표 29
2) 주거복지 수준 파악을 위해서 생산하는 지표 36
3) 주택시장지표 41
4) 주택금융시장지표 43
5) 그 외 주택 현황 파악을 위해 생산하는 지표 45
2. 기존 주거복지 관련지표의 의의 및 한계점 45
3. 우리나라 주거복지 평가지표의 활용실태 및 문제점 50
1) 전반적인 주거복지 평가지표의 활용현황과 문제점 50
2) 주택종합계획의 활용실태와 문제점 51
3) 최저주거기준의 활용실태와 문제점 52
4) 농어촌서비스기준의 활용실태와 문제점 54
5) 기타 지표 활용실태와 문제점 55
제Ⅳ장 외국의 주거복지 평가지표 59
1. 미국의 주거복지 평가지표 분석 59
1) 주거복지정책 59
2) 미국주택조사 68
3) 주거 평가지표 71
2. 영국의 주거 평가지표 81
1) 주택정책 81
2) 주택조사 86
3) 주거 평가지표 86
3. 외국 사례의 시사점 91
제Ⅴ장 국민체감형 주거복지 평가지표 개발 99
1. 새로운 주거복지 평가지표의 개발 방향 및 개발과정 99
1) 개발 방향 99
2) 개발과정 100
2. 새로운 지표의 분류 항목 101
1) 주택 101
2) 주거환경 104
3. 주거복지 평가지표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112
1) 체감형 주거복지 평가지표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개요 112
2) 체감형 주거복지 평가지표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분석방법 113
3) 분석 결과 115
4. 기존의 주거복지 평가지표와 새로운 주거복지 평가지표 126
1) 정책지표의 개선방안 126
2) 새로운 국민체감형 주거복지 평가지표 129
제Ⅵ장 국민체감형 주거복지 평가지표 활용 139
1. 국민의 주거복지 정책목표 설정 139
2. 국민의 주거복지 수준을 감안한 정책 대상 발굴 150
1) 취약계층 선정에 새로운 주거복지 평가지표 활용 150
2) 계층별로 취약한 주거 파악에 새로운 주거복지 평가지표 활용 154
제Ⅶ장 결론 175
1. 연구의 결론 및 정책 제언 175
2. 연구의 성과와 향후 과제 183
1) 연구의 성과 183
2) 향후 과제 184
참고문헌 187
SUMMARY 193
부록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