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결론 및 정책제언
I. 연구개요 3
1. 연구배경 3
2. 연구목적 5
3. 연구범위 7
4. 연구방법 10
II. 과년도 연구결과 및 연계성 15
1. 1차년도 : 디지털통합공간 개념체계 15
2. 2차년도 :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체계 25
3. 3차년도 : 공간위계별 서비스 구현방안 30
4. 4차년도 : 선도사업 발굴 및 확산방안 33
5. 본 과제와의 연계성 38
Ⅲ. 글로벌 공간정보사회의 공간정보 활용 변화전망 43
1. 글로벌 공간정보사회의 개요 43
2. 글로벌 공간정보사회와 공간정보 45
3. 국내외 공간위계별 공간정보 추진현황 47
Ⅳ. 국내외 공간정보인프라(SDI) 추진현황 및 시사점 61
1. 글로벌 공간정보인프라(GSDI) 추진현황 61
2. 국가 공간정보인프라(NSDI) 추진현황 71
3. 지역 공간정보인프라(LSDI) 추진현황 81
4. 시사점 종합 83
Ⅴ. 글로벌 공간정보사회를 위한 우리나라 SDI 발전방향 91
1. 발전방향 설정을 위한 설문조사 91
2. 우리나라 SDI 발전 기본구상 103
Ⅵ. 공간위계별 SDI 발전방안 111
1. 글로벌 공간정보인프라(GSDI) 참여 확대 111
2. 국가 공간정보인프라(NSDI) 고도화 120
3. 지역 공간정보인프라(LSDI) 도입 및 기능화 176
Ⅶ. 실천계획 191
1. 법제도 정비 191
2. 거버넌스 체계 203
3. 재원조달 방안 220
4. 추진로드맵 222
Ⅵ. 결론 225
1. 연구결론 및 기대효과 225
2. 연구의 특징 및 한계 232
3. 정책건의 및 향후과제 234
참 고 문 헌 237
부록 1 - 전문가 의견수렴 설문조사 245
부록 2 - 해외발주 공간정보사업의 최근 트렌드 조사표 257
I. 연구개요 3
1. 연구배경 3
2. 연구목적 5
3. 연구범위 7
4. 연구방법 10
II. 과년도 연구결과 및 연계성 15
1. 1차년도 : 디지털통합공간 개념체계 15
2. 2차년도 :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체계 25
3. 3차년도 : 공간위계별 서비스 구현방안 30
4. 4차년도 : 선도사업 발굴 및 확산방안 33
5. 본 과제와의 연계성 38
Ⅲ. 글로벌 공간정보사회의 공간정보 활용 변화전망 43
1. 글로벌 공간정보사회의 개요 43
2. 글로벌 공간정보사회와 공간정보 45
3. 국내외 공간위계별 공간정보 추진현황 47
Ⅳ. 국내외 공간정보인프라(SDI) 추진현황 및 시사점 61
1. 글로벌 공간정보인프라(GSDI) 추진현황 61
2. 국가 공간정보인프라(NSDI) 추진현황 71
3. 지역 공간정보인프라(LSDI) 추진현황 81
4. 시사점 종합 83
Ⅴ. 글로벌 공간정보사회를 위한 우리나라 SDI 발전방향 91
1. 발전방향 설정을 위한 설문조사 91
2. 우리나라 SDI 발전 기본구상 103
Ⅵ. 공간위계별 SDI 발전방안 111
1. 글로벌 공간정보인프라(GSDI) 참여 확대 111
2. 국가 공간정보인프라(NSDI) 고도화 120
3. 지역 공간정보인프라(LSDI) 도입 및 기능화 176
Ⅶ. 실천계획 191
1. 법제도 정비 191
2. 거버넌스 체계 203
3. 재원조달 방안 220
4. 추진로드맵 222
Ⅵ. 결론 225
1. 연구결론 및 기대효과 225
2. 연구의 특징 및 한계 232
3. 정책건의 및 향후과제 234
참 고 문 헌 237
부록 1 - 전문가 의견수렴 설문조사 245
부록 2 - 해외발주 공간정보사업의 최근 트렌드 조사표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