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결론 및 정책제안 i
발간사 iii
요약 v
제1장 연구의 개요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1) 연구의 배경 3
2) 연구의 목적 5
2. 연구의 주안점 6
3. 연구의 흐름 및 추진방법 8
1) 연구의 범위와 흐름 8
2) 연구의 추진방법 10
4. 본 연구의 기대효과 11
제2장 새로운 교통계획모형의 필요성 13
1. 교통정책의 여건 변화 15
1) 사회적 여건 변화 15
2) 교통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18
2. 교통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교통계획모형 19
1) 교통계획모형의 역할과 요건 19
2) 기존 교통계획모형의 한계 20
3) 교통정책 실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교통계획모형의 필요성 22
3. 교통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주요 선진국 동향 23
제3장 활동기반 모형의 이론과 적용사례 25
1. 활동기반 모형의 이론 27
1) 개발 배경 27
2) 교통계획모형의 종류 28
3) 활동기반 모형의 특성 30
4) 활동기반 모형의 모형화 방법론 32
5) 활동기반 모형의 적용성에 관한 논의 33
2. 활동기반 모형 개발 및 적용 사례 36
1) 해외 활동기반 모형 개발 현황 36
2) 국내 활동기반 모형 개발 현황 47
제4장 실증분석 49
1. 실증분석의 개요 51
1) 실증분석의 목적 51
2) 실증분석의 단계별 방법론 53
3) 실증분석을 위한 입력자료 55
2. 활동기반 시뮬레이션 모형의 적용 56
1) 인구합성(Population synthesis) 56
2) 개인/가구의 활동 시뮬레이션 모형 추정 결과(FEATHERS) 61
3) 교통정책 실효성 측면에서 활동모형의 유효성 67
3. 활동기반 시뮬레이션 모형의 정책 활용 사례분석 75
1) 통행비용 변화에 따른 영향분석: SimAGENT 75
2) 인구·사회변화에 따른 영향분석: FEATHERS 87
3) 활동기반 시뮬레이션의 시나리오 분석 결과 종합 91
제5장 활동기반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계획 93
1. 국내 교통수요모형의 비판적 고찰 95
1) 국내 교통수요모형 구축 과정 95
2) 국내 교통수요 모형의 문제점 98
2. 해외 활동기반 시뮬레이션 모형 고찰 100
1) 활동기반 시뮬레이션 모형의 기본 구조 100
2) 해외 활동기반 시뮬레이션 모형 분석 103
3. 활동기반 시뮬레이션(ACTOR) 모형의 개발 이슈 110
1) 해외 활동기반 시뮬레이션 모형 비교 110
2) ACTOR모형의 기본구조와 주요 개발 항목 110
제6장 결론 및 향후 과제 117
1. 연구의 결론 119
2. 정책제언 121
1) 효과적인 교통정책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 필요 121
2) 활동기반모형의 정책활용 122
3) 데이터 수집에 대한 제언 123
참고문헌 129
SUMMARY 137
부록1: SimAGENT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세부사항 139
부록2: FEATHERS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세부사항 146
발간사 iii
요약 v
제1장 연구의 개요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1) 연구의 배경 3
2) 연구의 목적 5
2. 연구의 주안점 6
3. 연구의 흐름 및 추진방법 8
1) 연구의 범위와 흐름 8
2) 연구의 추진방법 10
4. 본 연구의 기대효과 11
제2장 새로운 교통계획모형의 필요성 13
1. 교통정책의 여건 변화 15
1) 사회적 여건 변화 15
2) 교통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18
2. 교통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교통계획모형 19
1) 교통계획모형의 역할과 요건 19
2) 기존 교통계획모형의 한계 20
3) 교통정책 실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교통계획모형의 필요성 22
3. 교통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주요 선진국 동향 23
제3장 활동기반 모형의 이론과 적용사례 25
1. 활동기반 모형의 이론 27
1) 개발 배경 27
2) 교통계획모형의 종류 28
3) 활동기반 모형의 특성 30
4) 활동기반 모형의 모형화 방법론 32
5) 활동기반 모형의 적용성에 관한 논의 33
2. 활동기반 모형 개발 및 적용 사례 36
1) 해외 활동기반 모형 개발 현황 36
2) 국내 활동기반 모형 개발 현황 47
제4장 실증분석 49
1. 실증분석의 개요 51
1) 실증분석의 목적 51
2) 실증분석의 단계별 방법론 53
3) 실증분석을 위한 입력자료 55
2. 활동기반 시뮬레이션 모형의 적용 56
1) 인구합성(Population synthesis) 56
2) 개인/가구의 활동 시뮬레이션 모형 추정 결과(FEATHERS) 61
3) 교통정책 실효성 측면에서 활동모형의 유효성 67
3. 활동기반 시뮬레이션 모형의 정책 활용 사례분석 75
1) 통행비용 변화에 따른 영향분석: SimAGENT 75
2) 인구·사회변화에 따른 영향분석: FEATHERS 87
3) 활동기반 시뮬레이션의 시나리오 분석 결과 종합 91
제5장 활동기반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계획 93
1. 국내 교통수요모형의 비판적 고찰 95
1) 국내 교통수요모형 구축 과정 95
2) 국내 교통수요 모형의 문제점 98
2. 해외 활동기반 시뮬레이션 모형 고찰 100
1) 활동기반 시뮬레이션 모형의 기본 구조 100
2) 해외 활동기반 시뮬레이션 모형 분석 103
3. 활동기반 시뮬레이션(ACTOR) 모형의 개발 이슈 110
1) 해외 활동기반 시뮬레이션 모형 비교 110
2) ACTOR모형의 기본구조와 주요 개발 항목 110
제6장 결론 및 향후 과제 117
1. 연구의 결론 119
2. 정책제언 121
1) 효과적인 교통정책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 필요 121
2) 활동기반모형의 정책활용 122
3) 데이터 수집에 대한 제언 123
참고문헌 129
SUMMARY 137
부록1: SimAGENT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세부사항 139
부록2: FEATHERS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세부사항 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