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분과: 조경계획
1. 장기 미집행 상태에서의 이용을 고려한 대형 도시공원의 조성방향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중앙공원을 대상으로 -
2. 인간 열환경지수(Human Thermal Sensation)를 이용한 조경계획 및 디자인 방법
3. 초등학교 주변의 보행환경평가
4. 조망점 선정을 통한 경관평가 및 개선방안 - 대규모 주택단지 개발예정지를 대상으로 -
5. 주요 건축물 외부공간의 공개공지 현황 분석
6. 민북마을 환경계획 - 철원군 양지리 마을 대상으로 -
7. 도시공원의 지역성 표현에 대한 전문가 인식 분석 - 조경설계 전문가와 행정가의 비교를 중심으로 -
8. 도시공원 및 녹지관련 자치법규의 현황과 개선방안
9. 어린이 활동공간 환경안전관리 개선방안
제2분과: 조경설계 및 이론
1. 이안 맥하그의 생태조경계획의 특성 - Design with Nature를 중심으로 -
2. 패턴언어를 통한 Landscape Urbanism의 공간 설계 방법
3. 현대 조경에서 나타나는 픽춰레스크 미학의 양상
4. 대형 공원에 나타나는 현대 공원 설계의 쟁점
5. 페미니즘 관점에서 본 환경설계에서의 여성성
6. 자연과 도시의 감각적 합으로서의 조경 - 로렌스 핼프린(Lawrence Halprin)의 작품을 중심으로 -
7. 영화 <아바타>에 나타나는 경관
8. 현대 메모리얼의 대지예술적 특성 연구
9. 미디어 공간의 구축과 장소의 재구성 - 모바일 미디어를 중심으로 -
제3분과: 역사·경관·문화
1. 14세기에서 19세기의 한국?중국?일본의 조경식물 선택 및 배식
2. 조선후기 경화사족(京華士族)의 도시문화와 정원예술
3. 청량산 유산기(遊山記)에 나타난 조선선비의 산 경관인식에 대한 연구
4. 창덕궁 태액지의 조영사적 특성
5. 경관특성평가(LCA)를 통한 경관보호지역의 역사?문화적 가치 평가방법
6. 참여 관찰법을 이용한 중국인 상업 가로지역 공간의 문화인류학적 분석 - 서울 대림동 중국인 집단거주지 내 상업 가로지역을 대상으로 -
제4분과: 생태복원·식물
1. 비오톱 유형 분류를 기반으로 한 경관평가 모형설정 및 적용
2. 식생모듈박스를 이용한 저토심 무관리형 옥상녹화 - 토양조성이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3. 비슬산 진달래나무군락지의 식생특성
4. 서울시 구로구 가로수 생육 특성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5. 3차원 동적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가로수 식재양식별 가로경관 특성
6. GIS를 기반으로 한 비오톱의 휴양가치 평가도구(BVAT) 개발과 적용
7. 토지피복의 온도변화 분석을 통한 조경설계 적용가능성 연구 - 달성공원을 중심으로 -
8. 도시민과 공무원의 도시농업 인식 비교
제5분과: 작품 및 논문전시
1. 함께하는 자리”reciprocal landscape 서울 항동 보금자리주택지구 조경설계공모 당선작
2. 생태관광 인증제도의 국내·외 동향 분석
1. 장기 미집행 상태에서의 이용을 고려한 대형 도시공원의 조성방향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중앙공원을 대상으로 -
2. 인간 열환경지수(Human Thermal Sensation)를 이용한 조경계획 및 디자인 방법
3. 초등학교 주변의 보행환경평가
4. 조망점 선정을 통한 경관평가 및 개선방안 - 대규모 주택단지 개발예정지를 대상으로 -
5. 주요 건축물 외부공간의 공개공지 현황 분석
6. 민북마을 환경계획 - 철원군 양지리 마을 대상으로 -
7. 도시공원의 지역성 표현에 대한 전문가 인식 분석 - 조경설계 전문가와 행정가의 비교를 중심으로 -
8. 도시공원 및 녹지관련 자치법규의 현황과 개선방안
9. 어린이 활동공간 환경안전관리 개선방안
제2분과: 조경설계 및 이론
1. 이안 맥하그의 생태조경계획의 특성 - Design with Nature를 중심으로 -
2. 패턴언어를 통한 Landscape Urbanism의 공간 설계 방법
3. 현대 조경에서 나타나는 픽춰레스크 미학의 양상
4. 대형 공원에 나타나는 현대 공원 설계의 쟁점
5. 페미니즘 관점에서 본 환경설계에서의 여성성
6. 자연과 도시의 감각적 합으로서의 조경 - 로렌스 핼프린(Lawrence Halprin)의 작품을 중심으로 -
7. 영화 <아바타>에 나타나는 경관
8. 현대 메모리얼의 대지예술적 특성 연구
9. 미디어 공간의 구축과 장소의 재구성 - 모바일 미디어를 중심으로 -
제3분과: 역사·경관·문화
1. 14세기에서 19세기의 한국?중국?일본의 조경식물 선택 및 배식
2. 조선후기 경화사족(京華士族)의 도시문화와 정원예술
3. 청량산 유산기(遊山記)에 나타난 조선선비의 산 경관인식에 대한 연구
4. 창덕궁 태액지의 조영사적 특성
5. 경관특성평가(LCA)를 통한 경관보호지역의 역사?문화적 가치 평가방법
6. 참여 관찰법을 이용한 중국인 상업 가로지역 공간의 문화인류학적 분석 - 서울 대림동 중국인 집단거주지 내 상업 가로지역을 대상으로 -
제4분과: 생태복원·식물
1. 비오톱 유형 분류를 기반으로 한 경관평가 모형설정 및 적용
2. 식생모듈박스를 이용한 저토심 무관리형 옥상녹화 - 토양조성이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3. 비슬산 진달래나무군락지의 식생특성
4. 서울시 구로구 가로수 생육 특성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5. 3차원 동적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가로수 식재양식별 가로경관 특성
6. GIS를 기반으로 한 비오톱의 휴양가치 평가도구(BVAT) 개발과 적용
7. 토지피복의 온도변화 분석을 통한 조경설계 적용가능성 연구 - 달성공원을 중심으로 -
8. 도시민과 공무원의 도시농업 인식 비교
제5분과: 작품 및 논문전시
1. 함께하는 자리”reciprocal landscape 서울 항동 보금자리주택지구 조경설계공모 당선작
2. 생태관광 인증제도의 국내·외 동향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