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21세기 도시거주의 키워드 ‘걷고 싶은 생활환경’
1-1 주거라는 시점에서 도시를 다루는 시대
1 20세기 단층형 도시의 형성
2 거주공간으로서의 도시 부활
1-2 거주민의 의지와 도시의 규칙
1 거주민의 의지가 거리를 재생
2 시민투표의 중요성
1-3 미래의 도시거주상 - ‘다양한 사람이 정착해 살 수 있는 거리’
1 도시거주환경연구회가 지향하는 것
2 미래의 키워드 ‘아이덴티티’, ‘휴먼스케일’, ‘커뮤니케이션’
1-4 도시 거주민의 의식으로 보는 미래의 도시거주 이미지
1 다양한 사람이 살아갈 수 있는 거리를 요구하는가
2 한 거리에 살고 싶은가
3 아이덴티티가까운 곳의 풍요로움, 편안한 생활이 중요
4 휴먼스케일차에 의존하지 않는 마을만들기
5 커뮤니케이션이웃끼리의 교류는 중요하나 현실은 단절
1-5 걷고 싶은 생활환경
칼럼 01 ‘걸어서 생활할 수 있는 거리만들기’ 구상
칼럼 02 경관법
제2장 걷고 싶은 거리의 매력이란
2-1 걷고 싶은 거리의 매력요소
칼럼 03 거리의 정보원
2-2 아이덴티티로 본 거리의 매력
1 다채로운 녹음을 가진다
2 누구에게나 편리한 대중교통
3 시간의 축적, 기호의 선택
4 거리의 개성을 키운다
칼럼 04 노면전차를 살린 거리의 활성화스트라스부르
칼럼 05 수변을 활용한 계획파리 플라쥬
2-3 휴먼스케일로 본 거리의 매력
1 차에 의존하지 않는다
2 안심하고 걷는다
칼럼 06 자전거에 관한 여러가지 시책파리 시내
3 즐겁게 걷는다
칼럼 07 민간회사가 무료로 제공하는 스트리트 퍼니처 파리 시
2-4 커뮤니케이션으로 본 거리의 매력
1 지연을 살린다
2 취미를 살린다
3 미래의 도시형 커뮤니티란
칼럼 08 보행자와 자전거를 위한 환경 이벤트파리 리스파이어
2-5 걷고 싶은 생활환경을 실현하기 위해서
제3장 거리의 매력을 점으로 다룬다
3-1 매력을 말로 표현한다
1 표본을 찾는다
2 ID?HS?CM의 매력을 패턴화한다
3 새의 눈으로 읽고, 곤충의 눈으로 발견한다
4 매력을 세운다
칼럼 09 미의 기준가나가와 현 마나즈루마치
3-2 패턴으로 보는 거리의 매력
1 생활의 매력을 유출한다
2 야나카역사가 쌓여 생활의 특징이 된다
칼럼 10 NPO야나카 학교
3 다이칸야마세련된 상점과 자연?역사를 걸으며 즐긴다
칼럼 11 노천 카페에서 일본의 전통경관을 본다
3-3 개성을 해독한다
1 거리의 개성이란
2 개성은 다양한 환경의 계승으로부터 온다
칼럼 12 도시의 아이덴티티
3 개성을 정량화한다
4 개성의 내용을 중시한다
5 개성의 복합성을 파악한다
3-4 마을만들기의 이미지를 공유한다
칼럼 13 패턴을 CG로 형상화한다
제4장 거리의 매력을 면으로 다룬다
4-1 거리 매력의 확산과 관계를 파악한다
1 거리를 안다
2 거리 매력의 관계와 확산
4-2 거주민에게 거리를 묻다
1 일상생활 안에서 매력을 찾는다
2 사례연구
4-3 거주민에 의한 거리 평가
1 보행권을 조사한다
2 어디에서 거리의 매력을 느끼는가
3 보행경로를 조사한다
4-4 걷고 싶은 생활환경을 향하여
1 거리의 핵심 포인트를 안다
2 거리의 평가방법을 활용한다
칼럼 14 마을만들기 자원정보 동향
참고자료 설문조사표
제5장 거리의 매력을 의식으로 다룬다
5-1 걷고 싶은 의식을 측정한다
5-2 키워드로 보는 거리의 평가
1 평가 그리드법과 평가구조
2 푸르를수록 높아지는 평가
3 거주민과 비거주민의 평가는 다르다
5-3 거리의 지원성 발견
1 지원성과 평가구조
2 걷고 싶은 지원성
3 걷고 싶지 않은 지원성
5-4 의식의 지도화
1 GIS에 의한 평가구조
2 비일상의 매력
3 인지하기 어려운 범죄의 위험
4 인지하기 쉬운 사고의 위험
5 앞으로 GIS시스템의 활용과 과제
5-5 평가구조의 파악과 합의형성
제6장 걷고 싶은 생활환경의 실현을 향하여
6-1 조사와 분석수법의 활용을 향하여
6-2 성숙한 사회에 있어서 마을만들기
1 행정 : 마을만들기를 지향한 거리의 운영관리
2 계획자 : 거주민 입장에서의 마을만들기
3 주민 : 주민 스스로에 의한 마을만들기
4 계획자와 주민 : 마을만들기에서 주민참가
5 앞으로의 전망지속 가능한 도시환경의 실현을 향하여
1-1 주거라는 시점에서 도시를 다루는 시대
1 20세기 단층형 도시의 형성
2 거주공간으로서의 도시 부활
1-2 거주민의 의지와 도시의 규칙
1 거주민의 의지가 거리를 재생
2 시민투표의 중요성
1-3 미래의 도시거주상 - ‘다양한 사람이 정착해 살 수 있는 거리’
1 도시거주환경연구회가 지향하는 것
2 미래의 키워드 ‘아이덴티티’, ‘휴먼스케일’, ‘커뮤니케이션’
1-4 도시 거주민의 의식으로 보는 미래의 도시거주 이미지
1 다양한 사람이 살아갈 수 있는 거리를 요구하는가
2 한 거리에 살고 싶은가
3 아이덴티티가까운 곳의 풍요로움, 편안한 생활이 중요
4 휴먼스케일차에 의존하지 않는 마을만들기
5 커뮤니케이션이웃끼리의 교류는 중요하나 현실은 단절
1-5 걷고 싶은 생활환경
칼럼 01 ‘걸어서 생활할 수 있는 거리만들기’ 구상
칼럼 02 경관법
제2장 걷고 싶은 거리의 매력이란
2-1 걷고 싶은 거리의 매력요소
칼럼 03 거리의 정보원
2-2 아이덴티티로 본 거리의 매력
1 다채로운 녹음을 가진다
2 누구에게나 편리한 대중교통
3 시간의 축적, 기호의 선택
4 거리의 개성을 키운다
칼럼 04 노면전차를 살린 거리의 활성화스트라스부르
칼럼 05 수변을 활용한 계획파리 플라쥬
2-3 휴먼스케일로 본 거리의 매력
1 차에 의존하지 않는다
2 안심하고 걷는다
칼럼 06 자전거에 관한 여러가지 시책파리 시내
3 즐겁게 걷는다
칼럼 07 민간회사가 무료로 제공하는 스트리트 퍼니처 파리 시
2-4 커뮤니케이션으로 본 거리의 매력
1 지연을 살린다
2 취미를 살린다
3 미래의 도시형 커뮤니티란
칼럼 08 보행자와 자전거를 위한 환경 이벤트파리 리스파이어
2-5 걷고 싶은 생활환경을 실현하기 위해서
제3장 거리의 매력을 점으로 다룬다
3-1 매력을 말로 표현한다
1 표본을 찾는다
2 ID?HS?CM의 매력을 패턴화한다
3 새의 눈으로 읽고, 곤충의 눈으로 발견한다
4 매력을 세운다
칼럼 09 미의 기준가나가와 현 마나즈루마치
3-2 패턴으로 보는 거리의 매력
1 생활의 매력을 유출한다
2 야나카역사가 쌓여 생활의 특징이 된다
칼럼 10 NPO야나카 학교
3 다이칸야마세련된 상점과 자연?역사를 걸으며 즐긴다
칼럼 11 노천 카페에서 일본의 전통경관을 본다
3-3 개성을 해독한다
1 거리의 개성이란
2 개성은 다양한 환경의 계승으로부터 온다
칼럼 12 도시의 아이덴티티
3 개성을 정량화한다
4 개성의 내용을 중시한다
5 개성의 복합성을 파악한다
3-4 마을만들기의 이미지를 공유한다
칼럼 13 패턴을 CG로 형상화한다
제4장 거리의 매력을 면으로 다룬다
4-1 거리 매력의 확산과 관계를 파악한다
1 거리를 안다
2 거리 매력의 관계와 확산
4-2 거주민에게 거리를 묻다
1 일상생활 안에서 매력을 찾는다
2 사례연구
4-3 거주민에 의한 거리 평가
1 보행권을 조사한다
2 어디에서 거리의 매력을 느끼는가
3 보행경로를 조사한다
4-4 걷고 싶은 생활환경을 향하여
1 거리의 핵심 포인트를 안다
2 거리의 평가방법을 활용한다
칼럼 14 마을만들기 자원정보 동향
참고자료 설문조사표
제5장 거리의 매력을 의식으로 다룬다
5-1 걷고 싶은 의식을 측정한다
5-2 키워드로 보는 거리의 평가
1 평가 그리드법과 평가구조
2 푸르를수록 높아지는 평가
3 거주민과 비거주민의 평가는 다르다
5-3 거리의 지원성 발견
1 지원성과 평가구조
2 걷고 싶은 지원성
3 걷고 싶지 않은 지원성
5-4 의식의 지도화
1 GIS에 의한 평가구조
2 비일상의 매력
3 인지하기 어려운 범죄의 위험
4 인지하기 쉬운 사고의 위험
5 앞으로 GIS시스템의 활용과 과제
5-5 평가구조의 파악과 합의형성
제6장 걷고 싶은 생활환경의 실현을 향하여
6-1 조사와 분석수법의 활용을 향하여
6-2 성숙한 사회에 있어서 마을만들기
1 행정 : 마을만들기를 지향한 거리의 운영관리
2 계획자 : 거주민 입장에서의 마을만들기
3 주민 : 주민 스스로에 의한 마을만들기
4 계획자와 주민 : 마을만들기에서 주민참가
5 앞으로의 전망지속 가능한 도시환경의 실현을 향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