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약 ⅴ
제1장 서 론
1. 연구배경 1
2. 연구목적 3
3. 연구범위와 방법 4
1) 연구범위 4
2) 연구방법 5
4. 보고서의 구성과 연구의 틀 7
1) 연구보고서의 구성 7
2) 연구수행 체계도 8
5. 제1차년도(2008년) 연구의 성과 9
제2장 부동산시장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와 방법론
1. 선행연구 현황 11
1) 주요 선행연구 12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4
2. 부동산시장 분석관련 개념 및 이론 고찰 16
1) 토지시장 개념 및 토지가격 이론 17
2) 부동산시장 참여자의 선택행위에 대한 재해석: 행태경제이론 24
3) 부동산경기순환이론 27
3. 부동산시장 분석방법론 29
1) 부동산시장압력지수(RPI)의 개발 29
2) 부동산시장 참여자 심리분석: 설문조사 34
제3장 부동산시장 분석모형의 수정
1. 부동산 시장지표분석 모형의 수정과 토지시장압력 분석모형의 개발 41
1) 주택시장압력 분석모형의 수정 41
2) 토지시장압력 분석모형의 개발 51
3) 부동산시장압력지수의 산정 61
2. 부동산시장압력 전망을 위한 모형 개발 63
1) 부동산시장압력 전망방법 63
2) 주택시장압력지수(HPI) 전망 63
3) 토지시장압력지수(LPI) 전망 66
4) 부동산시장압력지수(RPI) 전망 68
3. 부동산시장 참여자 심리분석 모형의 보정 68
1) 구성지수의 종류 68
2) 주택부문 구성지수의 작성 69
3) 토지부문 구성지수의 작성 72
4) 개별 구성지수의 종합 73
제4장 부동산시장 진단 및 전망을 위한 응용시스템의 확장
1. 응용시스템 확장의 기본방향과 목표시스템 81
2. 응용시스템 확장의 주요 내용 82
1) 부동산시장 정보DB 확장 82
2) 자료수집시스템의 기능 확대 85
3) 부동산시장분석시스템의 기능 확대 88
4) 부동산정보서비스시스템의 개발 97
3. 응용시스템의 유지관리 방안 103
1) 응용시스템의 운영과 유지관리 103
2) 보안체계 106
제5장 K-REMAP을 이용한 부동산시장 진단과 전망
1. 부동산시장 진단 및 전망 결과의 생성방식 109
1) 부동산시장 관련 지수의 개요와 신규 개발의 필요성 109
2) 부동산시장 진단 및 전망 지수의 모색 114
2. 부동산시장 진단 및 전망 지수의 산정 116
1) 부동산시장압력 진단지수 산정 116
2) 부동산시장압력 전망지수 124
3) 부동산시장 참여자 심리분석 133
3. 부동산시장 진단 및 전망 지수를 활용한 시장의 위기 진단 147
1) 부동산시장의 위기와 진단 147
2) K-REMAP을 이용한 부동산시장 동향진단과 전망 151
제6장 K-REMAP의 활용도 제고 방안
1. K-REMAP의 유용성과 활용방향 155
1) K-REMAP의 유용성 155
2) K-REMAP 활용의 기본방향 157
2. K-REMAP의 활용방안 158
1) K-REMAP 활용을 위한 접근방향: 부동산시장 선진화와 안정 158
2) 기능적 측면에서의 활용 159
3) 이용자 측면에서의 활용 161
제7장 연구의 결론과 향후 과제
1. 정책적 기여도 163
1) 부동산시장 조기경보시스템(EWS) 지원 163
2) 부동산시장 동향분석 정책레포트 제공 165
3) 맞춤형 정책기반 제공 166
2. 연구의 특징과 한계 167
3. 정책건의와 향후 연구계획 169
1) 정책건의 169
2) 향후 연구계획 170
4. 맺음말 171
참고문헌 173
SUMMAR 177
부록 179
제1장 서 론
1. 연구배경 1
2. 연구목적 3
3. 연구범위와 방법 4
1) 연구범위 4
2) 연구방법 5
4. 보고서의 구성과 연구의 틀 7
1) 연구보고서의 구성 7
2) 연구수행 체계도 8
5. 제1차년도(2008년) 연구의 성과 9
제2장 부동산시장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와 방법론
1. 선행연구 현황 11
1) 주요 선행연구 12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4
2. 부동산시장 분석관련 개념 및 이론 고찰 16
1) 토지시장 개념 및 토지가격 이론 17
2) 부동산시장 참여자의 선택행위에 대한 재해석: 행태경제이론 24
3) 부동산경기순환이론 27
3. 부동산시장 분석방법론 29
1) 부동산시장압력지수(RPI)의 개발 29
2) 부동산시장 참여자 심리분석: 설문조사 34
제3장 부동산시장 분석모형의 수정
1. 부동산 시장지표분석 모형의 수정과 토지시장압력 분석모형의 개발 41
1) 주택시장압력 분석모형의 수정 41
2) 토지시장압력 분석모형의 개발 51
3) 부동산시장압력지수의 산정 61
2. 부동산시장압력 전망을 위한 모형 개발 63
1) 부동산시장압력 전망방법 63
2) 주택시장압력지수(HPI) 전망 63
3) 토지시장압력지수(LPI) 전망 66
4) 부동산시장압력지수(RPI) 전망 68
3. 부동산시장 참여자 심리분석 모형의 보정 68
1) 구성지수의 종류 68
2) 주택부문 구성지수의 작성 69
3) 토지부문 구성지수의 작성 72
4) 개별 구성지수의 종합 73
제4장 부동산시장 진단 및 전망을 위한 응용시스템의 확장
1. 응용시스템 확장의 기본방향과 목표시스템 81
2. 응용시스템 확장의 주요 내용 82
1) 부동산시장 정보DB 확장 82
2) 자료수집시스템의 기능 확대 85
3) 부동산시장분석시스템의 기능 확대 88
4) 부동산정보서비스시스템의 개발 97
3. 응용시스템의 유지관리 방안 103
1) 응용시스템의 운영과 유지관리 103
2) 보안체계 106
제5장 K-REMAP을 이용한 부동산시장 진단과 전망
1. 부동산시장 진단 및 전망 결과의 생성방식 109
1) 부동산시장 관련 지수의 개요와 신규 개발의 필요성 109
2) 부동산시장 진단 및 전망 지수의 모색 114
2. 부동산시장 진단 및 전망 지수의 산정 116
1) 부동산시장압력 진단지수 산정 116
2) 부동산시장압력 전망지수 124
3) 부동산시장 참여자 심리분석 133
3. 부동산시장 진단 및 전망 지수를 활용한 시장의 위기 진단 147
1) 부동산시장의 위기와 진단 147
2) K-REMAP을 이용한 부동산시장 동향진단과 전망 151
제6장 K-REMAP의 활용도 제고 방안
1. K-REMAP의 유용성과 활용방향 155
1) K-REMAP의 유용성 155
2) K-REMAP 활용의 기본방향 157
2. K-REMAP의 활용방안 158
1) K-REMAP 활용을 위한 접근방향: 부동산시장 선진화와 안정 158
2) 기능적 측면에서의 활용 159
3) 이용자 측면에서의 활용 161
제7장 연구의 결론과 향후 과제
1. 정책적 기여도 163
1) 부동산시장 조기경보시스템(EWS) 지원 163
2) 부동산시장 동향분석 정책레포트 제공 165
3) 맞춤형 정책기반 제공 166
2. 연구의 특징과 한계 167
3. 정책건의와 향후 연구계획 169
1) 정책건의 169
2) 향후 연구계획 170
4. 맺음말 171
참고문헌 173
SUMMAR 177
부록 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