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 간 사 i
서 문 iii
요 약 v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1) 연구범위 3
2) 연구방법 4
3. 보고서 구성 및 연구의 틀 6
제2장 관련 이론과 선행연구의 고찰
1. 연구방법론과 최근 연구동향 9
1) 주택수요 분석관련 연구방법론 9
2) 국?내외 최근 연구동향 12
2. 선행연구 현황과 본 연구의 차별성 13
제3장 주택공급 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
1. 주택공급 프로그램의 전개 17
2. 현행 주택공급 프로그램의 내용 20
3. 현행 주택공급 프로그램의 문제점 23
제4장 주택시장 여건변화와 주택수요 분석
1. 주택시장 내?외부 여건변화와 전망 25
1) 지방화, 민영화 요구의 증대 25
2) 사회경제적 여건변화 26
3) 주택시장 내부의 여건변화 27
2. 여건변화에 따른 주택수요 분석 29
1) 주택수요의 정의 29
2) 중?장기 주택수요의 추정 29
3) 생활권역별 주택수요량 추정 41
4) 소득계층별 주택수요량 추정 45
5) 가구주연령대별 주택수요량 추정 52
6) 1인가구 주택수요량 추정 58
제5장 외국사례 분석
1. 영국 59
1) 주택시장 현황 59
2) 중앙?지역?지방의 주택전략 61
3) 주택공급전략의 내용과 수단 64
4) 부담가능한 주택의 공급 70
5) 주택 지원정책 71
2. 미국 73
1) 주택시장 현황 73
2) 주택시장에서의 정부의 역할 73
3) 민간중심의 주택공급계획 수립 76
4) 주택 지원정책 77
3. 일본 83
1) 주택시장 현황 83
2) 주택공급제도 84
3) 지방정부의 주택정책 현황 91
4. 요약 및 시사점 92
제6장 주택공급 프로그램 개편방안
1. 기본방향 95
2. 수요 맞춤형 주택공급 프로그램 구축방안 96
1) 주택공급 총량 96
2) 연차별?지역별 주택공급 97
3) 주택유형별?점유형태별?주택면적별 주택공급 99
4) 소득계층별 주택공급 99
5) 연령계층별 주택공급 102
6) 1인가구에 대한 주택공급 102
3. 주택공급 주체간 역할분담 방안 103
1)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역할분담 103
2)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역할분담 105
4. 결론 및 향후 과제 107
1) 결론 및 정책건의 107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10
참 고 문 헌 113
SUMMARY 119
서 문 iii
요 약 v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1) 연구범위 3
2) 연구방법 4
3. 보고서 구성 및 연구의 틀 6
제2장 관련 이론과 선행연구의 고찰
1. 연구방법론과 최근 연구동향 9
1) 주택수요 분석관련 연구방법론 9
2) 국?내외 최근 연구동향 12
2. 선행연구 현황과 본 연구의 차별성 13
제3장 주택공급 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
1. 주택공급 프로그램의 전개 17
2. 현행 주택공급 프로그램의 내용 20
3. 현행 주택공급 프로그램의 문제점 23
제4장 주택시장 여건변화와 주택수요 분석
1. 주택시장 내?외부 여건변화와 전망 25
1) 지방화, 민영화 요구의 증대 25
2) 사회경제적 여건변화 26
3) 주택시장 내부의 여건변화 27
2. 여건변화에 따른 주택수요 분석 29
1) 주택수요의 정의 29
2) 중?장기 주택수요의 추정 29
3) 생활권역별 주택수요량 추정 41
4) 소득계층별 주택수요량 추정 45
5) 가구주연령대별 주택수요량 추정 52
6) 1인가구 주택수요량 추정 58
제5장 외국사례 분석
1. 영국 59
1) 주택시장 현황 59
2) 중앙?지역?지방의 주택전략 61
3) 주택공급전략의 내용과 수단 64
4) 부담가능한 주택의 공급 70
5) 주택 지원정책 71
2. 미국 73
1) 주택시장 현황 73
2) 주택시장에서의 정부의 역할 73
3) 민간중심의 주택공급계획 수립 76
4) 주택 지원정책 77
3. 일본 83
1) 주택시장 현황 83
2) 주택공급제도 84
3) 지방정부의 주택정책 현황 91
4. 요약 및 시사점 92
제6장 주택공급 프로그램 개편방안
1. 기본방향 95
2. 수요 맞춤형 주택공급 프로그램 구축방안 96
1) 주택공급 총량 96
2) 연차별?지역별 주택공급 97
3) 주택유형별?점유형태별?주택면적별 주택공급 99
4) 소득계층별 주택공급 99
5) 연령계층별 주택공급 102
6) 1인가구에 대한 주택공급 102
3. 주택공급 주체간 역할분담 방안 103
1)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역할분담 103
2)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역할분담 105
4. 결론 및 향후 과제 107
1) 결론 및 정책건의 107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10
참 고 문 헌 113
SUMMARY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