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친환경차 보급이 활성화된 세계 주요 국가의 교통세제를 검토한 결과 친환경차 활성화를 위한 세제혜택과 친환경차에서 발생한 도로관리비용에 대한 분담금 징수(과세)를 조화롭게 설계하여 친환경차 보급 속도를 지연하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한 정책적 고려요소로 판단되며, 혜택 위주의 현 친환경차 교통세제를 점진적으로 개편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음
- 특히, 친환경차에 대한 합리적인 교통세 부과를 위해서는 교통인프라의 건설·유지·관리에 사용되는 총비용의 산정과 미래 교통여건 변화를 고려한 장래 소요예산 예측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과세액이 산출되어야 함
- 다만 교통세제의 변화는 필연적으로 조세 마찰 또는 조세 저항 등의 사회적 갈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개편안 마련 시 합리적인 과세액 산출 및 효율적인 과세 방식 설정을 통해 이러한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
- 특히, 친환경차에 대한 합리적인 교통세 부과를 위해서는 교통인프라의 건설·유지·관리에 사용되는 총비용의 산정과 미래 교통여건 변화를 고려한 장래 소요예산 예측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과세액이 산출되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