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주요 내용
-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사업의 전환기를 맞아 「도시재생법」 제정 이후 추진해 온 다양한 재생사업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성과와 문제점을 점검하고 단편적인 개선이 아니라 전체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개선방안을 검토
- 연구내용은 크게 도시재생과 관련된 정책과 연구의 흐름 분석, 도시재생사업 추진현황과 과제, 일본의 도시재생과 관련된 도시·지역정책 분석 등 세 가지로 구성하고 이를 통하여 전체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개선방안을 도출
-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건변화 수용, 도시재생의 목표·가치·방향성 설정, 주체간 분담, 대상지 선정 등과 관련한 도시재생사업의 기본원칙을 설정하였고, 계획·조직·사업 측면에서 단계별 개선방향을 제시

정책 제안
- 근린재생형은 잠재력보다 쇠퇴 등 사회·경제적 문제가 심각한 지역으로, 도시경제기반형은 산업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지역으로 선정될 수 있도록 유형별로 선정 및 지원 기준을 세분화
- 농어촌과 지방도시의 경우 축소도시 여건을 반영하여 재생사업이 도시서비스를 보완하고 외곽으로 확산된 기능을 중심지역으로 재배치할 수 있도록 유도
- 시급성이 높은 지역, 경제기반형은 중앙정부가 지원하되 일반적인 쇠퇴지역은 광역과 기초지자체 중심으로 운영하고 공기업, 사회적 경제, 중간지원조직 등의 역할을 확대
- 특별법의 성격에 맞게 의제처리, 특례 인정을 통해 계획 및 사업방식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장기적으로는 도시경제기반형에 맞는 별도 법률 운영

<이하 원문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