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정보통신기술이 빠르게 발달하면서 공간(空間)을 표현하는 기술, 시간(時間)의 흐름에 따라 달라지는 요인들의 인과관계를 다루는 기술, 인간(人間)의 의사결정과 그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기술들도 함께 발전하고 있다.
공간정보를 체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공간을 실감나도록 표현하는 기술로는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술이 가장 대표적이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시스템 내 변수들의 동태적 인과관계와 미래 전망 그리고 새로운 작용에 대한 파급효과를 측정하는 데는 시스템 다이내믹스(System Dynamics) 기법이 뛰어나며, 시공간적 요소가 혼재된 시스템 안에서 목표를 이루기 위한 의사결정을 하는 데는 최적제어이론(Optimal Control Theory)이 매우 유용하다.
이러한 기술이나 기법은 그 자체로도 유용하지만, 그것들이 서로 연계되거나 결합될 때 그 활용성이 더욱 넓어진다. 그래서 일부 시스템 다이내믹스 소프트웨어는 최적제어기법을 수용하여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의 활용지평을 넓혀가고 있다. 또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시스템 다이내믹스와 지리정보시스템의 연계를 통해 시간적 요소와 공간적 요소를 함께 다룸으로써 양자가 지닌 각각의 한계를 극복하려 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의 종착점은 결국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 지리정보시스템 기술, 최적제어이론을 완전히 결합한 소프트웨어의 등장에 있다. 이러한 노력과 시도는 특정 시스템 안에서 시간적 요소, 공간적 요소, 인간적 요소를 결합하여 궁극적으로는 시공인 요소들을 자유자재로 다루고 분석하는 통합시스템을 구축하려는 데 있다. 이는 정보통신기술들이 지향하는 발전방향과 그 궤를 같이 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현재 완벽하지는 않더라도 이러한 시공인 통합시스템의 유사 형태로서 가장 발전된 모습을 보이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는 심시티(SimCity)이다. 심시티는 도시를 설계하여 건설하고 운영하는 도시경영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소프트웨어로 그 역사가 20년이 되었다. 이 게임은 게임자가 직접 만들거나 주어진 공간에, 실제로 도시를 건설하듯이 도시지역을 설정한 후, 그 곳에 도로, 교통, 상하수도, 전력, 토지이용 등을 디자인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세금, 법률, 교류, 자문, 통계 등에 관한 의사결정을 하면서, 게임자가 마치 시장이 된 듯이 도시를 경영하는 재미를 준다.
비록 심시티가 게임 소프트웨어이지만, 이처럼 시공인 통합시스템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는데 착안하여, 이 연구에서는 심시티를 활용하여 시공간 통합시스템을 구현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심시티의 아이디어는 앞으로 시스템 다이내믹스, 지리정보시스템, 최적제어이론을 결합한 명실상부한 시공인 통합시스템을 개발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관심 있는 연구자들의 활발한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