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보고서의 주요 내용
자율주행차 도입이 국토공간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계량적으로 실증분석하고, 장래 자율주행차 도입에 대응한 국토 및 교통 정책방안 논의
자율주행차 도입과 확산 시나리오는 ‘선도적 확산 시나리오’와 ‘수동적 정체 시나리오’로 선정하고 20년 후 시장점유율을 각각 70%와 30%로 설정
자율주행차의 도로네트워크 효율성 개선효과 분석결과, 편익은 연간 2.7조~5.1조, 약 1,059차로․㎞의 차로 감축 가능(서울‧경기도 전체도로의 1.9%)
자율주행차의 교통수단 이용행태 영향 분석 결과, 이동시간의 시간가치는 약 25% 정도 감소(이동 중 차량 내 활동으로 생산성 증가, 운전 피로도 감소 등)
자율주행차의 활동통행행태 영향 분석 결과, 수도권 전반에 통행거리 증가, 지역별 자율주행차 도입에 따른 통행시간 절감혜택이 상이함

본 연구보고서의 정책제안
법정계획(국토, 도시, 교통 등) 수립시 자율주행차와 같은 첨단교통기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중장기 효과평가를 통해 계획에 반영 필요
자율주행차 도입에 따라 도로 차선 수 감소가 가능한 곳을 선정하여, 선제적으로 해당 도로 공간의 활용방안 마련
자율주행차 지원과 시범사업은 고속도로나 도시고속도로 등 연속류 도로를 우선하고, 교통신호 등 자율주행차 연계 도시부 도로의 첨단화 조기 추진 필요
중장기에는 자율주행차 전용차선, 자율주행 대중교통 확대 등 지역연계교통 네트워크 형성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