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를 둘러싼 주변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세계경제위기 이후 새로운 경제질서 형성과정에서 미국과 일본의 지도적 위상이 하락하고 중국 등 신흥경제대국들에게 새로운 리더쉽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 어떠한 미래 비전과 발전전략을 모색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과거 우리는 동북아의 중심이 되겠다는 다소 공허한 비전을 제시한 바 있다. 중심이 되겠다는 선언은 자연스럽게 두 가지 반향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첫 번째는 냉소이다. 중심이 될 만한 역량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선언을 한다면 주변국들로부터 냉소를 받을 수밖에 없다. 두 번째는 견제이다. 중심이 될 만한 잠재력을 가진 국가가 중심이 되겠다는 선언을 한다면 당연히 주변국들은 긴장하게 되고 견제를 하게 될 수밖에 없다. 불행히도 과거 우리의 ‘동북아 중심’ 비전은 전자의 경우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이 G2라는 용어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후자의 상황을 경계하고 있음이 자명하다.
우리는 현명하고 실현 가능한 비전을 통해 미래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허브’로서의 한반도를 미래의 비전으로서 제시하고 있다. 미래 한반도의 경쟁력은 주변국들과의 네트워킹 속에서 강화해 갈 수 있을 것이며, 네트워킹을 선도하는 구심점으로서 ‘네트워크 허브’는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될 것이다. 경쟁과 협력이 공존하는 상황 속에서 ‘네트워크 허브’는 한반도의 생존과 발전을 위한 키 워드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최근 국내에도 시판된 아이폰의 최대 강점 가운데 하나는 사용자들이 자신들이 창안한 소프트웨어를 공유시키고 이 과정에서 큰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커뮤니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아이폰의 비즈니스 모델은 바로 우리가 미래 지향할 ‘네트워크 허브’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열린’ 한반도에서 다양한 문화와 취향을 가진 사람과 기업들이 자유롭게 네트워크를 구축토록 하는 것이 바로 ‘네트워크 허브’로서 한반도의 미래 모습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미래 비전의 실현을 위해서는 정치, 경제, 사회?문화 등 각 영역에서 세부적인 국가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토측면에서 몇 가지 실천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세계적인 수준의 ‘도시’와 ‘인프라’구축이 그 가운데 하나이다. 미래 한반도가 ‘네트워크 허브’가 되기 위해서는 인적 교류를 주도할 공간적 거점으로서 인터페이스 시티(interface city)와 도시간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그리고 더욱 가까워 질 주변국들과 환경문제에 공동대처하는 네트워크 구축도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미래 한반도의 비전을 위한 국토전략을 제시하였지만, 세부적인 방안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이것은 후속연구들을 통해 보완할 것임을 약속드린다. 연구의 진행과정 속에서 함께 고민하고 귀중한 말씀을 주신 여러 자문위원분들께 감사드린다.
과거 우리는 동북아의 중심이 되겠다는 다소 공허한 비전을 제시한 바 있다. 중심이 되겠다는 선언은 자연스럽게 두 가지 반향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첫 번째는 냉소이다. 중심이 될 만한 역량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선언을 한다면 주변국들로부터 냉소를 받을 수밖에 없다. 두 번째는 견제이다. 중심이 될 만한 잠재력을 가진 국가가 중심이 되겠다는 선언을 한다면 당연히 주변국들은 긴장하게 되고 견제를 하게 될 수밖에 없다. 불행히도 과거 우리의 ‘동북아 중심’ 비전은 전자의 경우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이 G2라는 용어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후자의 상황을 경계하고 있음이 자명하다.
우리는 현명하고 실현 가능한 비전을 통해 미래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허브’로서의 한반도를 미래의 비전으로서 제시하고 있다. 미래 한반도의 경쟁력은 주변국들과의 네트워킹 속에서 강화해 갈 수 있을 것이며, 네트워킹을 선도하는 구심점으로서 ‘네트워크 허브’는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될 것이다. 경쟁과 협력이 공존하는 상황 속에서 ‘네트워크 허브’는 한반도의 생존과 발전을 위한 키 워드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최근 국내에도 시판된 아이폰의 최대 강점 가운데 하나는 사용자들이 자신들이 창안한 소프트웨어를 공유시키고 이 과정에서 큰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커뮤니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아이폰의 비즈니스 모델은 바로 우리가 미래 지향할 ‘네트워크 허브’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열린’ 한반도에서 다양한 문화와 취향을 가진 사람과 기업들이 자유롭게 네트워크를 구축토록 하는 것이 바로 ‘네트워크 허브’로서 한반도의 미래 모습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미래 비전의 실현을 위해서는 정치, 경제, 사회?문화 등 각 영역에서 세부적인 국가전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토측면에서 몇 가지 실천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세계적인 수준의 ‘도시’와 ‘인프라’구축이 그 가운데 하나이다. 미래 한반도가 ‘네트워크 허브’가 되기 위해서는 인적 교류를 주도할 공간적 거점으로서 인터페이스 시티(interface city)와 도시간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그리고 더욱 가까워 질 주변국들과 환경문제에 공동대처하는 네트워크 구축도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미래 한반도의 비전을 위한 국토전략을 제시하였지만, 세부적인 방안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이것은 후속연구들을 통해 보완할 것임을 약속드린다. 연구의 진행과정 속에서 함께 고민하고 귀중한 말씀을 주신 여러 자문위원분들께 감사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