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П립뼁?요약

김포시의 공간구조 개편과 도시·지역계획차원의 발전전략을 검토한 이상대 박사는 김포의 외연적 확장이 가지는 특징과 이러한 개발압력이 가져올 문제점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김포시의 공간구조상 가장 큰 특징으로 48번 국도변을 따라 선형상에 중심지기능이 집중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즉 김포시가지 지역과 고촌면 등 김포 동남부권역에 인구와 개발압력이 집중되어, 이에 따라 이 지역의 준농립지의 난개발, 교통정체, 우량농경지의 잠식, 기반시설의 부족 등과 같은 부작용이 집중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상대 박사는 김포시의 입장에서 통과하는 공간이 아닌 외부에서 일어나는 개발을 김포시와 연계하여 ""통합""시키는 전략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며, 아울러 동남부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기능을 서북부지역으로 확산시키는 노력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현재 도시계획 바깥지역에서 발행하고 있는 무계획적인 난개발을 어떻게 체계적인 계획을 통해 전반적인 김포시 공간구조형성과정에 통합하느냐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아울러 이상대 박사는 김포시의 전략적 기능배치를 위한 공간구조의 개편방안과 서북부 농촌중심생활권의 육성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으며, 이러한 계획추진과 관련하여 국토이용계획의 변경과 도시계획구역 바깥지역에 대한 개발통제와 함께 군사시설보호구역에 대한 합리적인 규제완화방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현재 김포시의 다양한 계획들로 인하여 '계획의 홍수'를 이루고 있음을 지적하고, 계획들간 역할분담을 통해 일부는 ""계획의 홍수""를 이루고 있음을 지적하고, 전략적 집중을 할 수 있는 전략계획(Strategic Plan)을 수립할 것을 역설하고 있다.

김포시의 주거환경의 변화와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이성룡 박사는 전반적인 김포시의 변화모습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면서 김포시 주거환경의 일반적 현황을 검토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주택보급률, 주거수준을 지적하고, 단독주택 등 저층·저밀 유형의 주택이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하고 다세대주택과 아파트의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현상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이성룡 박사는 김포시가 당면한 주거환경변화의 문제를 고층아파트 중심의 획일적 택지개발과 공장난립에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