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정보검색화살표
KRIHS발간물화살표
국토 Digital Archive화살표
정보서비스화살표
도서관이용안내화살표
My Library화살표
서명사항 | |
---|---|
제목 |
공간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한 역세권의 개발 여건 분석 |
저자사항 | |
글쓴이(연구진) | 박대한 |
과제구분(collection) | 기타 |
TOT 장르 | 워킹페이퍼 |
발행사항 | |
발행일 | 20201231 |
형태사항 | |
페이지수 | 34 |
가격 | 비매품 |
초록 | ■ 역세권의 공간·기능적 중요도는 커지는 반면, 물리적 쇠퇴는 심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역세권 개발 사업의 추진이 어려운 실정 ■ 대전역 역세권은 도시 평균보다 낮은 실현용적률로 도시밀도 관리 차원에서 역세권의 잠재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음 ■ 낮은 인구 밀도와 높은 노후건축물 비율로 인한 도시 활력 저하, 물리적 쇠퇴 가속화 우려에 대응하기 위한 도시재생사업 추진 필요 ■ 이 연구는 대전역 역세권(반경 1km)이라는 임의 구역을 대상으로 사업여건을 살펴보기 위해, 도로율(%), 실현용적률(%), 인구밀도(인/), 인구대비 사업체 비율(%), 인구대비 종사자 비율(%), 노후건축물 비율(%), 공시지가(원) 등 6가지의 지표값을 공간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하여 제시하였음 |
목차 | 1 역세권의 중요성과 정량적 분석의 필요성 2 역세권 지표 선정 및 지표별 구축 방안 3 대전역 역세권의 여건 분석 4 분석의 종합 및 제언 |
보고서번호 | WP 20-26 |
바로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