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검색 상세정보

인구감소·고령화 시대의 사회안전 확보를 위한 골든타임 트라이앵글 조성방안 연구 (A Strategy for Allocating Emergency Resources Considering the Spatio-temporal Connectivity of Golden Time Triangle)

책이미지
별점
서평쓰기
서평쓰기
도서 상세정보
서명사항
서명 인구감소·고령화 시대의 사회안전 확보를 위한 골든타임 트라이앵글 조성방안 연구 (A Strategy for Allocating Emergency Resources Considering the Spatio-temporal Connectivity of Golden Time Triangle)
저자사항(개인명)
글쓴이(연구진) 구형수, 표희진, 김준성, 박정일, 이경주
과제구분(collection) 기본
TOT 장르 연구보고서
발행사항
발행일 20221231
형태사항
페이지 수 258p.
가격 8,000원
과제코드 인구감소·고령화 시대의 사회안전 확보를 위한 골든타임 트라이앵글 조성방안 연구
보고서번호 기본 22-38
바로가기

초록 일부

□ 인구감소·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위급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 ‘골든타임 트라이앵글’ 조성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상황
- 코로나19 유행 이후 ‘크로노 어바니즘(chrono-urbanism)’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시 문제의 해결에 ‘시간’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는 추세
□ 전체 시·군·구를 대상으로 골든타임 트라이앵글에 대...

초록 전체

□ 인구감소·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위급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 ‘골든타임 트라이앵글’ 조성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상황
- 코로나19 유행 이후 ‘크로노 어바니즘(chrono-urbanism)’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시 문제의 해결에 ‘시간’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는 추세
□ 전체 시·군·구를 대상으로 골든타임 트라이앵글에 대한 충족 실태를 분석한 결과,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판명
- 특히, 도시축소(urban shrinkage) 현상이 심각하거나, 도시구조가 외곽으로 확산된 형태일수록 중점투자지역(高위험-대응미흡)이 될 가능성 농후
□ 중점투자지역(축소도시) 한 곳을 대상으로 골든타임 트라이앵글의 실현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서비스 소외지역을 없애기 위해 다수의 시설이 필요한 것으로 판명
- 단, 장래 인구 변화를 고려하면 수요가 불충분한 시설도 많으며, 이들의 최적 입지 조합도 변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시설 배치계획을 수립할 때 신중한 접근 필요

목차 전체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요약

제1장 연구의 개요
제2장 골든타임 트라이앵글의 개념, 의의 및 구조
제3장 지역별 골든타임 트라이앵글의 조성여건
제4장 골든타임 트라이앵글 핵심시설의 배치전략
제5장 골든타임 트라이앵글 조성을 위한 정책방안
제6장 결론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SUMMARY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