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검색 상세정보

미래모빌리티 변화에 대응하는 도로환경개선 방안 마련 연구: 지방지역 일반국도를 중심으로 (A Strategy for Improving Road Environment for Future Mobility: Focusing Rural Highway)

책이미지
별점
서평쓰기
서평쓰기
도서 상세정보
서명사항
서명 미래모빌리티 변화에 대응하는 도로환경개선 방안 마련 연구: 지방지역 일반국도를 중심으로 (A Strategy for Improving Road Environment for Future Mobility: Focusing Rural Highway)
저자사항(개인명)
글쓴이(연구진) 김승훈, 김호정
과제구분(collection) 수시
TOT 장르 연구보고서
발행사항
발행일 20221231
형태사항
페이지 수 133p.
가격 비매품
과제코드 미래모빌리티 변화에 대응하는 도로환경개선 방안 마련 연구
보고서번호 수시 22-22
바로가기

초록 일부

- 미래모빌리티 전환으로 지방지역 도로에 개인교통수단 등의 다양한 수단 통행 패턴이 도입될 전망
- 다양한 지방지역 도로 이용자의 통행기본권 및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단의 통행을 위한 공간 및 연결성, 안전성 확보를 위한 도로 환경 조성이 필요
- 지방지역 도로에 보행 수단을 비롯한 다양한 비차량 수단의 사고 심각도가 높아 모빌리티 변화로 인...

초록 전체

- 미래모빌리티 전환으로 지방지역 도로에 개인교통수단 등의 다양한 수단 통행 패턴이 도입될 전망
- 다양한 지방지역 도로 이용자의 통행기본권 및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단의 통행을 위한 공간 및 연결성, 안전성 확보를 위한 도로 환경 조성이 필요
- 지방지역 도로에 보행 수단을 비롯한 다양한 비차량 수단의 사고 심각도가 높아 모빌리티 변화로 인한 새로운 수단의 통행 안전성 또한 취약할 것으로 전망
- 개별적으로 추진되는 지점 단위의 도로 환경 개선사업은 다양한 수단의 종합적인 통행공간을 조성하고 문전 연결성을 확보할 수 없는 한계
- 기존의 도로 환경 개선사업의 종합화 및 유형화 방안을 제시하여 기존 도로 환경 개선사업의 한계점을 보완할 필요

목차 전체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제1장 연구의 개요
제2장 미래모빌리티 변화와 도로 환경
제3장 일반국도 도로 환경의 현황 및 문제점
제4장 도로 환경 개선방안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참고문헌
SUMMARY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