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조시는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무의식적인 고정관념을 깨다
도시의 기원
도시를 수단으로 생각한다
인구증가시대의 도시
도시계획이란 무엇인가
풍경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도시와 탈화폐
도시에 대한 네가지 태도
이책의 대한 목적과 구성
제2장 도시를 움직이는 인구의 파도
도시를 계획적으로 접는다
인구를 고려하여 도시를 계획한다
인구의 파도와 도시계획
일본...
목차 전체
제1장 조시는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무의식적인 고정관념을 깨다
도시의 기원
도시를 수단으로 생각한다
인구증가시대의 도시
도시계획이란 무엇인가
풍경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도시와 탈화폐
도시에 대한 네가지 태도
이책의 대한 목적과 구성
제2장 도시를 움직이는 인구의 파도
도시를 계획적으로 접는다
인구를 고려하여 도시를 계획한다
인구의 파도와 도시계획
일본인구의 특징
지방도시의 인구를 읽는다
대도시의 인구를 읽는다
대도시의 도심과 근교의 인구를 읽는다
누가 도시를 이용하는지를 상상환다
있어야 할 균형을 의식한다
마을 만들기 과정에서 논의한다
인구감소를 지나치게 두려워하지 않는다
제3장 축소하는 도시공간의 가능성
도시공간이 확대되는 형태, 축소 되는 형태
도시는 스프롤 형태로 확대된다
도시는 스폰지처럼 축소한다
스폰지화의 양상
대도시 초교외지역의 상황
지방도시 중심부의 상황
대도시 교외의 상황
스폰지화가 가진 가능성
제4장 도시를 접기위한 기술
컴팩트 대 스폰지
도시계획의 세가지 수단과 마스터플랜
도시확대기의 도시계획
중심 x 용도지역 모델
전체 x 레이어 모델
도시계획은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
제5장 도시를 접는 방법
두 가지 사례를 통해 생각한다
빈집활용 프로젝트
프로젝트 Y의 특징
빈집을 활용한 마을만들기 계획과 토지은행사업
빈집을 활용한 마을만들기 계확과 토지은행사업의 특징
스폰지 대 컴팩트
제6장 재해부흥을 통해 배운다
인구감소시대의 재해부흥
인구증가시대의 재해부흥
토지구획정리사업과 바라크의 의미
토지구획정리사업+바라크 모델
원전피해자의 초근대부흥
쓰나미 피해지역의 비영리 부흥
원래 어떤 사회였는가
토지구획정리사업+바라크 모델의 끝
비영리부흥의 모습
초근대부흥과 비영리부흥의 미래
재해부흥을 통해 배우는 도시를 접는 방법
제7장 도시접기 그 끝에 있는 것
도시를 접는 것
접혀진 공간의 도시계획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