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검색 상세정보

미래 트렌드와 주거의식 변화에 따른 주거복지 대응전략 (According to Changes in Future Trends and Housing Consciousness, Housing Welfare Strategy)

책이미지
별점
서평쓰기
서평쓰기
도서 상세정보
서명사항
서명 미래 트렌드와 주거의식 변화에 따른 주거복지 대응전략 (According to Changes in Future Trends and Housing Consciousness, Housing Welfare Strategy)
저자사항(개인명)
글쓴이(연구진) 이길제, 김지혜, 이재춘, 조윤지
과제구분(collection) 기본
TOT 장르 연구보고서
발행사항
발행일 20211231
형태사항
페이지 수 260
가격 8,000원
과제코드 미래 트렌드와 주거의식 변화에 따른 주거복지 대응전략
보고서번호 기본 21-32
바로가기

초록 일부

- 코로나19 전후 국내외 메가 트렌드로부터 인구, 경제, 기술, 환경·자원, 사회·정치 분야의 메가 트렌드와 파생되는 주거이슈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주거의식을 조사
- 현재 가장 중요한 주거기능은 ‘주거·업무 등 복합적 기능의 공간’ (60.8%), ‘교육·문화·교육 등 서비스의 소비 공간’(36.6%) 순이며, 미래에는 ‘주거·업무 등 ...

초록 전체

- 코로나19 전후 국내외 메가 트렌드로부터 인구, 경제, 기술, 환경·자원, 사회·정치 분야의 메가 트렌드와 파생되는 주거이슈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주거의식을 조사
- 현재 가장 중요한 주거기능은 ‘주거·업무 등 복합적 기능의 공간’ (60.8%), ‘교육·문화·교육 등 서비스의 소비 공간’(36.6%) 순이며, 미래에는 ‘주거·업무 등 복합적 기능의 공간’(55.8%) 다음으로 ‘자연환경과 어우러진 친환경적 공간’(41.0%)비율이 높게 나타남
- 현재 주거선택시 고려하는 주거가치는 안전성(4.25), 건강성(4.24), 안정성(4.17) 순이며, 미래에는 건강성(4.33), 안전성(4.32), 쾌적성(4.31)의 순으로 쾌적성이 크게 증가
- 현재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사회복지(50.1%) 및 주거복지(48.8%) 수준에 대해 절반 정도가 보통이라고 응답하였고, 주거복지정책의 확대에 대해서는 찬성의견이 다수(63.8%)

목차 전체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주거의식의 이론적 고찰
제3장 미래 트렌드 변화와 주거 이슈
제4장 주거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제5장 주거복지 대응전략
제6장 결론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SUMMARY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