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검색 상세정보

친환경차 활성화 추이에 따른 이용자 중심 충전인프라 구축 방안(Development of User-centric Charging Infrastructure Policies for Rapid Adoption of Zero Emission Vehicles)

책이미지
별점
서평쓰기
서평쓰기
도서 상세정보
서명사항
서명 친환경차 활성화 추이에 따른 이용자 중심 충전인프라 구축 방안(Development of User-centric Charging Infrastructure Policies for Rapid Adoption of Zero Emission Vehicles)
저자사항(개인명)
글쓴이(연구진) 이재현, 윤서연, 연복모, 박소영, 김창모, 박지영
과제구분(collection) 기본
TOT 장르 연구보고서
발행사항
발행일 20201130
형태사항
페이지 수 200
가격 7,000원
과제코드 친환경차 활성화 추이에 따른 이용자 중심 충전인프라 구축 방안
보고서번호 기본 20-25
바로가기

초록 일부

- 전기차 충전행태는 활동-통행행태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평균적인 통행행태를 보이는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거주지 또는 직장 기반 완속충전기 위주로, 장거리 통행수요가 많은 일부 전기차 이용자들이 거주지 완속충전기와 공용 급/완속충전기 모두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 수소차 이용자들의 경우 대부분이 평균이상의 통행량을 보이고 있었으며, 충전소의 위치에 ...

초록 전체

- 전기차 충전행태는 활동-통행행태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평균적인 통행행태를 보이는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거주지 또는 직장 기반 완속충전기 위주로, 장거리 통행수요가 많은 일부 전기차 이용자들이 거주지 완속충전기와 공용 급/완속충전기 모두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 수소차 이용자들의 경우 대부분이 평균이상의 통행량을 보이고 있었으며, 충전소의 위치에 따라 수소차 운행에 제약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전기차 충전수요의 충전기 유형별 수요는 장소적 특성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났으며, 거주지 기반 완속충전수요는 수도권 근교도시에서, 급속충전수요는 서울 등 대도시 내부에서 더 높게 나타났고, 콘센트형 충전수요는 매우 낮게 나타남
- 수소차 충전수요의 경우도 대도시권에서 대부분 높게 추정되었으나, 지방 중소도시에서의 수요도 높을 것으로 예측됨

목차 전체

제1장 서론
제2장 국내외 현황분석
제3장 친환경차 활성화 전망
제4장 친환경차 이용자 조사 및 이용행태기반 정책과제
제5장 친환경차 공간 분석 및 충전인프라 정책과제
제6장 정책제언
제7장 결론

참고문헌
SUMMARY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