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일부
본 연구보고서의 주요 내용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개념 및 4차 산업혁명이 사회·경제·일자리·산업입지에 미치는 영향 등을 정리하였음
- 4차 산업혁명시대의 주요국의 중점 육성산업 및 입지공급, 국가별 대응전략, 국내외 기업의 대응전략 등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음
- 4차 산업혁명시대의 신산업을 선정하고 신산업의 기초통계분석, 사업체 입지패턴 분...
초록 전체
본 연구보고서의 주요 내용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개념 및 4차 산업혁명이 사회·경제·일자리·산업입지에 미치는 영향 등을 정리하였음
- 4차 산업혁명시대의 주요국의 중점 육성산업 및 입지공급, 국가별 대응전략, 국내외 기업의 대응전략 등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음
- 4차 산업혁명시대의 신산업을 선정하고 신산업의 기초통계분석, 사업체 입지패턴 분석, 신산업 사업체 설문조사 분석 등을 수행하였음
-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한 新산업입지 공급방향, 신산업 및 기존 산업을 위한 산업입지 공급방안, 제도개선방안 등을 제시하였음
본 연구보고서의 정책제안
- 신산업 육성을 위한 입지 공급방안으로 청년 창업 활성화를 위해 도심지역에 공유형 산업공간 공급, 대학, 연구소의 연구결과를 창업할 수 있는 대학·연구소 주변에 산업공간 공급, 도심 내 기존 산업용지의 창업공간 활용을 위한 보존장치 마련,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세제, 자금, 공간, 프로그램 등을 통합적으로 지원
- 기존 산업 활성화를 위한 입지 공급방안으로 IoT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대량생산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교외지역에 대규모 산업단지를 공급, 신산업의 창업 이후 확장 및 성숙단계에 이른 기업을 위한 도심 및 도심 주변지역에 산업입지 공급, 중소기업 및 대기업의 2, 3차 밴드에 해당하는 소기업들의 스마트 팩토리 구축 지원
- 제도개선 방안으로 산업의 융복화와 신산업의 생산특성을 감안하여 산업단지 내 용도구역 통합(산업시설구역)하고 입주 가능한 업종과 기능을 확대하며, 일정 거리안의 몇 개 빌딩을 하나의 산업단지로 지정할 수 있는 네트워크형 산업단지제도 도입, 버티칼 산업단지제도 도입 등에 따른 분양가격 산정방식 개편, 산업단지 기반시설의 개념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