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발 간 사 i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ii
요 약 v
I. 연구의 개요 3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3
1) 연구 배경 3
2) 연구 필요성 4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범위, 방법, 절차 5
1) 연구의 범위 5
2) 연구의 방법 5
3) 연구의 흐름 7
4.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8
1) 선행연구 현황 ...
목차 전체
발 간 사 i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ii
요 약 v
I. 연구의 개요 3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3
1) 연구 배경 3
2) 연구 필요성 4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범위, 방법, 절차 5
1) 연구의 범위 5
2) 연구의 방법 5
3) 연구의 흐름 7
4.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8
1) 선행연구 현황 8
2) 선행연구와 본 연구와의 차별성 8
5. 연구의 기대효과 10
1) 학술적 측면 10
2) 정책적 측면 10
II. 행위자 기반 모형의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 13
1. 도시모형의 기능, 역할, 전망 13
1) 공간상호작용모형 14
2) 공간경제모형 15
3) 마이크로 시뮬레이션 모형 17
4) 셀 기반 모형 18
5) 기존 모형 검토의 시사점 19
2. 행위자 기반 모형의 개념과 특성 20
3. 도시모형 방법론으로서의 행위자 기반 모형 23
III. 행위자 기반 도시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분석 27
1. 국토..도시 발전과 공간변화 27
2. 공간변화의 유형과 특성 28
3. 공간변화의 행위주체와 주요 영향요인 30
Ⅳ. 행위자 기반 도시모형의 설계와 개발 35
1. 모형개발의 접근방법 및 고려사항 35
1) 기본 방향 35
2) 공간 단위 37
3) 시간 단위 37
4) 모형의 검사, 보정, 검증 38
2. 모형의 구성요소 39
1) 공간환경 모듈 40
2) 공간밀도 모듈 41
3) 행위자 생성 모듈 43
4) 행위자 입지선택 모듈 44
5) 제약요인 모듈 45
6) 시뮬레이션 결과분석 모듈 47
3. 모형의 논리적 구조와 구동절차 48
4. 모형의 개발환경 및 개발방법 51
5. 예비 시뮬레이션 수행 및 모형의 기본성능 검토 54
1) 입지 함수에 대한 시뮬레이션 54
2) 밀도 함수에 대한 시뮬레이션 56
Ⅴ. 행위자 기반 도시모형의 적용과 결과분석 63
1. 사례연구 대상지 현황 63
1) 대상지 선정 배경 63
2) 인구현황 64
3) 지형지세 66
4) 토지피복 및 용도지역 67
5) 도로망 등 교통네트워크 70
6) 공시지가 71
7) 개발밀도 71
8) 정비예정구역 현황 74
2. 모형구동을 위한 실증분석 77
1) 행위자의 유형정의 77
2) 입지요인의 추정 78
3) 고밀복합입지의 개발밀도 추정 94
4) 외생변수 설정 198
3. 시나리오별 시뮬레이션 101
1) 기준 시나리오 101
2) 정책 시나리오 102
4. 시나리오별 결과분석 104
1) 기준 시나리오 105
2) 정책 시나리오 107
3) 시나리오별 결과 비교 및 시사점 109
Ⅵ. 결론 및 향후과제 113
1. 모형의 의의 및 한계 113
2. 모형의 활용 및 확장방안 114
3. 향후과제 117
1) 부문모형과 하위모형의 개발 117
2) 분석 지표의 개발 117
3) 통합적 계획지원시스템으로의 개발 118
4) 국토도시 정책과의 연계 118
참고문헌 121
SUMMARY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