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론
제1부 이론적 배경과 이념형
제1장 적극행정의 의의와 관련 이론들
제2장 동서고금의 이상적 공무원상
제3장 동아시아의 이념형: '만다린'과 유자관료
제4장 구미의 이념형: 헤겔, 베버, 윌슨, 신행정학, 생태론
제2부 법계와 적극행정
제1장 법리주의, 관리주의, 법계
제2장 유럽대륙, 영미, 한국의 법계 비교
제3장 법계 차이와 적극행...
목차 전체
서론
제1부 이론적 배경과 이념형
제1장 적극행정의 의의와 관련 이론들
제2장 동서고금의 이상적 공무원상
제3장 동아시아의 이념형: '만다린'과 유자관료
제4장 구미의 이념형: 헤겔, 베버, 윌슨, 신행정학, 생태론
제2부 법계와 적극행정
제1장 법리주의, 관리주의, 법계
제2장 유럽대륙, 영미, 한국의 법계 비교
제3장 법계 차이와 적극행정
제4장 적극행정과 「행정기본법」
제3부 적극행정과 감사
제1장 적극행정과 감사원의 역할
제2장 적극행정 활성화 장애요인과 감사과제
제3장 감사기구의 혁신실험: '사전컨설팅제도'
제4부 적극행정의 실제
제1장 담론과 실제
제2장 조세행정
제3장 공정거래행정
제4장 교육행정
제5장 환경행정: 미세먼지문제를 중심으로
제6장 방역행정
제7장 미국 행정국가의 개혁 과제
제8장 유럽 행정에서의 경쟁 원리
제9장 공공기업가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