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문 부동산 시장 변화의 흐름을 읽다
1장 부동산 투자: 넌 서울에 아파트 한 채도 없니?
1.부동산, 여전히 1순위 투자처인가
차곡차곡, 점차 늘어가는 부동산 자산 Ι 세대별로 살펴보는 투자 선호도 Ι 부동산 자산의 수요 변화, 떠오르는 금융자산 Ι 그럼에도 여전히 부동산에 주목하는 이유 Ι 지역과 부동산 유형별로 알아보는 투자 선호도 Ι 부동산 ...
목차 전체
서문 부동산 시장 변화의 흐름을 읽다
1장 부동산 투자: 넌 서울에 아파트 한 채도 없니?
1.부동산, 여전히 1순위 투자처인가
차곡차곡, 점차 늘어가는 부동산 자산 Ι 세대별로 살펴보는 투자 선호도 Ι 부동산 자산의 수요 변화, 떠오르는 금융자산 Ι 그럼에도 여전히 부동산에 주목하는 이유 Ι 지역과 부동산 유형별로 알아보는 투자 선호도 Ι 부동산 투자, 앞으로 누가 더 적극적일까?
2.집값 상승, 사회문제 인식은?
부동산 가격의 나 홀로 상승세 Ι 부동산 가격 상승, 문제 인식 수준과 그 원인은? Ι 상승세, 진짜 원인이 '공급 부족'?
3.개발이익은 누구의 것인가?
개발이익은 무엇이고, 어떻게 발생하나? Ι 재건축의 대명사, 강남 은마아파트 Ι 개발이익은 어떻게 환수되고 있는가 Ι 개발이익의 어느 정도를 환수해야 하나 Ι 세대별 가치관의 변화 Ι 개발이익 배분법, 개발연대의 다섯 형제
2장 부동산 불평등: 억울해? 억울하면 너도 사든가!
1.부동산, 부의 불평등을 낳다
부동산 소유와 불로소득의 독식 Ι 부동산을 통한 부의 불평등 심화 Ι 불로소득, 문제의식을 공유하다
2.부의 불평등, 완화할 수 있을까
부동산 보유세, 어느 정도 내나 Ι 부동산 보유세 15.4조 원, 총 세수의 4%
국민 대다수, '보유세 부과 수준 낮다" Ι 제 역할을 못하는데도 높은 양도소득세 Ι 부 불평등 완화의 길, 아직 멀다
3.부의 불평등, 이젠 대물림까지?
역사상 '부의 이전'이 가장 많은 시기가 도래했다 Ι 부동산을 통한 부의 세습, 문제 인식 높아 Ι 부동산 구매는 부모 찬스로! Ι 상속·증여세에 대한 이중적 인식 Ι 부의 이전, 불평등을 해소할 방법은
3장 부동산 공급: 공급만이 능사인가?
1.도심 재생이냐, 신도시 개발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부동산 가격 상승, 토지 공급 문제일까? Ι 토지 공급, 신개발을 통해서만 가능한가? Ι 고밀도 재건축과 재개발에는 '반대' Ι토지 공급의 상대적 부족 시대
2.신도시 개발의 또 다른 면, 토지의 환경 가치와 개발이익의 극한 대립
소유권과 개발권, 분리 가능한가? Ι 토지 임대에 대한 지지도 Ι 장기 임대 선호도 높아져
3.토지의 공익과 사익 사이, 함께 주목해야 할 것
토지라는 재화의 특수성 Ι 토지는 공익일까, 사익일까
4.대안은 없을까, 소유권과 개발권 분리
무질서한 난개발, 가장 큰 문제로 지적 Ι 토지의 환경적 가치, 꾸준히 증가세 Ι 개발이익이 '사유화'되고 있다 Ι 농산지 개발이익은 제대로 환수하고 있나 Ι 농지와 산지 규제, 더 강화해야 한다
4장 그래도 시작은 부동산 시장의 공정으로부터: 공정한 시장, 도대체 그게 뭔데?
1.조세정의의 시작은 적정한 부동산 공시가로부터
사례로 알아보는 공시가격 Ι 불공정의 시작은 공시가격 현실화율 차이로부터 Ι 10억 원을 10억 원 이라고 부를 수 있는 시대 Ι 부동산 과세, 두 번의 할인은 바람직하지 않다
2.더욱 철저하게 관리, 감독되는 부동산 시장을 원한다
부동산 정보, 온라인을 통해 얻는다 Ι '부동산 시장 교란 행위'는 있었다 Ι
부동산 감독기구는 필요하다
맺음말 부동산의 시간, 해는 저무는 데 갈 길은 아직 멀다!
역사상 가장 많은 부의 대물림 시작, 앞으로의 과제는?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