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정보학
1. 정보학의 성립과정
1.1 도큐멘테이션의 발생
1.2 도큐멘테이션의 성장, 발전, 쇠퇴
2. 정보학의 정의
3. 정보학의 연구영역
3.1 정보검색
4. 정보학의 관련학문
제2장 정보와 지식
1. 정보
1.1 정보의 정의
1.2 정보의 유형
2. 지식
2.1 지식의 정의
2.2 지식의 ...
목차 전체
제1장 정보학
1. 정보학의 성립과정
1.1 도큐멘테이션의 발생
1.2 도큐멘테이션의 성장, 발전, 쇠퇴
2. 정보학의 정의
3. 정보학의 연구영역
3.1 정보검색
4. 정보학의 관련학문
제2장 정보와 지식
1. 정보
1.1 정보의 정의
1.2 정보의 유형
2. 지식
2.1 지식의 정의
2.2 지식의 유형
3. 정보와 지식의 관계
제3장 정보원
1. 정보원의 정의와 종류
1.1 정보원의 정의
1.2 정보원의 종류
2. 1차정보원
2.1 학술지
2.2 연구보고서
2.3 회의자료
2.4 학위논문
2.5 특허
2.6 표준과 규격
2.7 상품안내자료
2.8 데이터 혹은 데이터셋
2.9 도서
3. 2차정보원
3.1 백과사전
3.2 사전
3.3 전기정보원
3.4 지리정보원
3.5 연감
3.6 명감
3.7 편람
3.8 서지
3.9 목록
3.10 색인지, 초록지
3.11 리뷰지
4. 3차정보원
제4장 정보의 유통 및 학술커뮤니케이션
1. 전통적인 정보의 유통
1.1 정보 사이클
1.2 정보의 생산
1.3 정보유통의 경로
1.4 정보유통기관
2. 오픈액세스
2.1 오픈액세스 운동
2.2 OA 저널
2.3 기관리포지터리
2.4 Creative Commons License
3. 오픈교육자원
3.1 오픈교육학
3.2 오픈교육자원
3.3 구축 사례-오픈교재
제5장 정보요구 및 정보이용행태
1. 정보요구
1.1 정보요구의 정의
1.2 정보요구의 종류
2. 정보이용행태 모델
2.1 엘리스(Ellis) 모델
2.2 쿨타우(Kuhlthau) 모델
2.3 마치오니니(Marchionini) 정보탐색과정
2.4 윌슨(Wilson) 모델
제6장 정보의 표현과 조직
1. 정보표현 및 정보조직의 목적
2. 정보의 속성
2.1 외적 속성
2.2 내적 속성
3. 메타데이터 표준
3.1 메타데이터 개념
3.2 메타데이터 표준의 개념
3.3 메타데이터 표준의 구분
3.4 메타데이터 표준의 원칙
4. 데이터 구조 표준
4.1 DCMES
4.2 DCMI Metadata Terms
5. 데이터 내용 표준
5.1 ISBD
5.2 KCR4
6. 데이터 형식/교환 표준
6.1 MARC(MAchine Readable Cataloging)
6.2 BIBFRAME
7. 데이터 값 표준
7.1 저작 및 표현형 전거
7.2 이름전거
7.3 주제명표목표 및 시소러스
7.4 분류표
제7장 정보검색
1. 정보검색시스템
1.1 정보검색의 개념
1.2 정보검색시스템의 구성
1.3 색인 파일
1.4 검색인터페이스 설계
2. 색인
2.1 주제색인과 비주제색인
2.2 자연어색인과 통제어색인
2.3 전조합색인과 후조합색인
2.4 인용색인
2.5 멀티미디어색인
3. 정보검색 모형(모델)
3.1 불리언논리모형
3.2 벡터공간 모델
3.3 확률모델
3.4 인지적 모델
4. 정보검색 실행
4.1 정보검색 방법
4.2 탐색전략 수립
4.3 정보탐색 기법
5. 정보검색효율 평가
5.1 적합성
5.2 재현율과 정확률
5.3 적합문헌 총수의 확인
제8장 계량정보학
1. 계량정보학의 정의
2. 계량정보학의 연구영역
3. 계량정보학의 법칙
3.1 Bradford 분산법칙
3.2 지프(Zipf) 법칙
3.3 로트카(Lotka) 법칙
3.4 문헌이용률 감소법칙
3.5 영향력지수(Impact Factor)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