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주택가격의 공간적 분포와 주택가격에 의한 주거지 분리 현상에 관한 연구 : 5개 대도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patial Distribution of Housing Values and Residential Segregation by Housing Value

이윤상

책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이윤상
오민준
고영화
서명/저자사항주택가격의 공간적 분포와 주택가격에 의한 주거지 분리 현상에 관한 연구 :5개 대도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Spatial Distribution of Housing Values and Residential Segregation by Housing Value /이윤상,오민준,고영화
발행사항세종 :국토연구원,2022
형태사항xxv, 194.p :지도,표 ;26cm
ISBN9791158988142
보고서번호기본 22-29
서지주기참고문헌(p.187-190),Summary(p.191-194)수록
비통제주제어주택가격,주택시장
바로가기URL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1 EK013183 K 03.10-09 인67주 2022 국토연구원/KRIHS 보고서실/ 대출가능
2 EK013184 K 03.10-09 인67주 2022 c.2 국토연구원/KRIHS 보고서실/ 대출가능

초록 일부

- 주거지 분리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주거지 분리의 개념, 주거지 분리의 문제점, 주거지 분리에 관한 규범, 주거지 분리의 원인을 파악하였고, 주거지 분리 측정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균등성, 군집성, 균등성과 군집성을 동시에 고려한 측정 방법을 선정하였음
- 기초통계, 로렌츠 곡선과 지니계수, 공간분포 지도, Moran’s I와 LISA 지도...

초록 전체

- 주거지 분리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주거지 분리의 개념, 주거지 분리의 문제점, 주거지 분리에 관한 규범, 주거지 분리의 원인을 파악하였고, 주거지 분리 측정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균등성, 군집성, 균등성과 군집성을 동시에 고려한 측정 방법을 선정하였음
- 기초통계, 로렌츠 곡선과 지니계수, 공간분포 지도, Moran’s I와 LISA 지도, 공간 지니계수 등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5개 대도시의 주택가격의 공간적 분포를 살펴보고, 주택가격에 의한 주거지 분리 수준 및 변화를 측정하였음
- 표적집단 심층토의, 심층면접, 서면조사 방법을 사용하여 2016~2021년 동안 주택가격에 의한 주거지 분리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소를 파악하였음

목차 일부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4. 연구의 기대효과 

제2장 주거지 분리에 관한 이론
 1. 주거지 분리의 개념 
 2. 주거지 분리의 문제점 
 3. 주거지 분리에 관한 규범 
 4. 주거지 분리의 원인 
 5. 시사점 

제3장 주거지 ...

목차 전체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4. 연구의 기대효과 

제2장 주거지 분리에 관한 이론
 1. 주거지 분리의 개념 
 2. 주거지 분리의 문제점 
 3. 주거지 분리에 관한 규범 
 4. 주거지 분리의 원인 
 5. 시사점 

제3장 주거지 분리의 측정 방법
 1. 기본방향 
 2. 균등성 측정 방법 
 3. 군집성 측정 방법 
 4. 균등성과 군집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측정 방법 

제4장 주택가격에 의한 주거지 분리 현상 분석
 1. 분석 자료와 절차 
 2. 분석 결과 
 3. 사례분석에 관한 시사점 
 
제5장 주택가격에 의한 주거지 분리 변화의 사례분석
 1. 분석 개요 
 2. 분석 결과 
 3. 시사점 

제6장 분석의 시사점 및 활용방안
 1. 높은 수준의 주택가격에 의한 주거지 분리 
 2. 주택가격에 의한 주거지 분리 수준의 증가 
 3. 주택가격과 주거지 분리 수준의 상관관계 
 4. 도시별 유사한 공간적 군집 수준 
 5. 저가주택 및 고가주택 군집지역의 고착화 
 6. 저가주택 군집지역의 증가세 
 7. 저가주택 군집지역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정부 정책 
 8. 본 연구의 활용방안

참고문헌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