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강소도시 연구 2023 . v.1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책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단체저자명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서명/저자사항강소도시 연구 2023.서울대학교 건축학과
판사항초판
발행사항서울 :어반이슈,2023
형태사항284.p :삽화,표 ;25cm
ISBN9791197343162
비통제주제어도시연구,강소도시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1 EB042255 02.30-11 서67강 2023 국토연구원/자료실/ 정리중

목차 일부

1 강소도시 아이디어 공모전: 강소도시의 테크놀로지
 1등 인공지능 테크놀로지(AI-Union City)
 2등 결합도시(Combinative Stellar City)
 3등 형용모순도시(Oxymoron City)
 3등 횡단의 기술로 유추한 경계 도시망: 지속가능한 미래 도시의 출현
 가작 지방의료의 소멸을 막는 의료 방주 도시(M.ARK.1)
 가작 알...

목차 전체

1 강소도시 아이디어 공모전: 강소도시의 테크놀로지
 1등 인공지능 테크놀로지(AI-Union City)
 2등 결합도시(Combinative Stellar City)
 3등 형용모순도시(Oxymoron City)
 3등 횡단의 기술로 유추한 경계 도시망: 지속가능한 미래 도시의 출현
 가작 지방의료의 소멸을 막는 의료 방주 도시(M.ARK.1)
 가작 알고리즘의 도시(Algorithmic CIty)
 
2 아이디어 공모 입상 후속 연구
 미래사회의 변화와 강소도시의 적응 방향
 적정 소도시 규모
 디지털 전환과 강소도시의 미래
 공공생활지원 시설의 설치 기준으로써 시간 기준에 대한 연구
 
3 강소도시 융합 과제 공모
 강소도시를 위한 지구 단위 계획 활용 연구
 가성세계에 도시 건설하기: 세종시 디지털 트윈 구축 사례 연구
 교통 인프라 정책은 지역 소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ICT 및 AI기반 쇠퇴 도시 재난 재해 대응 기술 개발
 기후위기, 포스트 팬데믹 시대의 NBS로써 관광-레저 도시 전략
 디지털 트윈 기반 탄소중립 강소도시의 에너지 생산·저장·활용 최적화 기술
 동아프리카 중소 도시 주거 환경의 특성과 지리적 패턴
 지방 도시의 여가 상권 복구와 활성화를 위한 생활권 공간 구축 계획
 중소도시에서 강소도시로의 성장 경로에 관한 연구

4 강소도시 세미나
 더 나은 일상을 위한 강소도시
 도시의 스마트 테크놀로지 사용법/ 디지털 트윈시티: 생ㅊ페 신호를 통한 도시 환경의 측정 
 귀농과 지역 기반 농업의 미래
 테크놀로지와 도시의 결합: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해 논의하다/ 스마트시티: 예측 가능성과 세렌디피티
 플랫폼 도시의 출현, 도시 혁신을 요구하다
 은퇴 후의 삶과 주거 다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