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모빌리티 혁신과 원격활동 확대의 파급 영향 조망과 교통·도시 대응 전략 = Ripple effect of mobility innovation and remote activities, and transportation and urban strategies responding to it

윤서연

책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윤서연
김민영
이재현
서명/저자사항모빌리티 혁신과 원격활동 확대의 파급 영향 조망과 교통·도시 대응 전략 =Ripple effect of mobility innovation and remote activities, and transportation and urban strategies responding to it /윤서연,김민영,이재현
발행사항세종 :국토연구원,2021
형태사항xix, 134.p :삽화,표 ;26cm
ISBN9791158986339
보고서번호기본 21-04
서지주기참고문헌(p.107-112),Summary(p.113-114),부록(p.115-134)수록
비통제주제어모빌리티,교통환경,교통
바로가기URL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1 EK013123 K 06.10-17 윤53모 2021 국토연구원/KRIHS 보고서실/ 대출가능
2 EK013124 K 06.10-17 윤53모 2021 c.2 국토연구원/KRIHS 보고서실/ 대출가능

초록 일부

- 지금까지 모빌리티의 발전은 이동속도, 이동시간의 제약을 극복하며 도시 발전과 확장의 근간이 되어 왔으며, 미래 모빌리티는 전기화, 자율주행, 공유의 세 가지 방향으로 혁신이 이루어져 이에 대한 영향을 새로이 조망하고자 하였음
- 원격활동, 특히 원격근무 확대는 통근통행량 감소 뿐만 아니라, 원격근무의 적극적인 도입이 예상되는 산업 입지에서는 업무 외 활...

초록 전체

- 지금까지 모빌리티의 발전은 이동속도, 이동시간의 제약을 극복하며 도시 발전과 확장의 근간이 되어 왔으며, 미래 모빌리티는 전기화, 자율주행, 공유의 세 가지 방향으로 혁신이 이루어져 이에 대한 영향을 새로이 조망하고자 하였음
- 원격활동, 특히 원격근무 확대는 통근통행량 감소 뿐만 아니라, 원격근무의 적극적인 도입이 예상되는 산업 입지에서는 업무 외 활동이 줄어들고, 출퇴근 편의성 외의 조건이 개선되는 입지로 이주를 고려하게 하는 영향이 있어 모빌리티 발전과 함께 시나리오화 하였음
- 미래 모빌리티의 발전은 민간의 기술 개발에 결정되지만, 사회적으로 어떠한 영향이 나타날지에 대해서는 공공의 적극성이 크게 좌우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를 중심으로 시나리오별 정책방향성을 도출하였음

목차 일부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범위 및 연구의 틀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4. 연구의 정책·학술적 기대효과 

제2장 모빌리티 혁신, 원격활동 확대의 전망과 영향범위
 1. 모빌리티 혁신의 전망 
 2. 원격활동 확대 전망 
 3. 모빌리티, 원격활동의 영향 범위 

제3장 파급...

목차 전체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범위 및 연구의 틀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4. 연구의 정책·학술적 기대효과 

제2장 모빌리티 혁신, 원격활동 확대의 전망과 영향범위
 1. 모빌리티 혁신의 전망 
 2. 원격활동 확대 전망 
 3. 모빌리티, 원격활동의 영향 범위 

제3장 파급영향에 대한 선행 연구 검토 및 분석의 틀 마련
 1. 동태적 행태분석 방법론에 의한 미래 전망 
 2. 모빌리티 혁신의 영향 
 3. 원격활동 확대의 영향 
 4. 선행 연구에서 파악한 파급영향 
 5. 본 연구의 영향 분석을 위한 개념적 모형 

제4장 시나리오 기반 미래 전망
 1. 개요 
 2. 전문가 설문으로 도출한 주요 미래 변화요인 및 영향 
 3. 일반인 설문으로 도출한 원격활동 활성화 전망 및 영향 
 4. 단계별 시나리오 설정 
 5. 종합 시나리오: 모빌리티 혁신 전개와 원격근무 확대
 
제5장 결론 및 향후 과제
 1. 결론 및 정책제언
 2.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 

참고문헌
SUMMARY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