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CHAPTER 01 지역이 처한 상황과 과제
지역격차와 '지방창생'
'지방창생'에 관한 논의
인구감소, 저출산과 고령화
콘텐츠 투어리즘으로 관광객 모으기
지역에서의 콘텐츠산업 진흥
관광과 일상생활을 함께할 수 있을까?
CHPATER 02 콘텐츠 투어리즘
콘텐츠 투어리즘의 정의와 필요성
콘텐츠 투어리즘에 대한 일반적 접근
국가의 정책
콘텐...
목차 전체
CHAPTER 01 지역이 처한 상황과 과제
지역격차와 '지방창생'
'지방창생'에 관한 논의
인구감소, 저출산과 고령화
콘텐츠 투어리즘으로 관광객 모으기
지역에서의 콘텐츠산업 진흥
관광과 일상생활을 함께할 수 있을까?
CHPATER 02 콘텐츠 투어리즘
콘텐츠 투어리즘의 정의와 필요성
콘텐츠 투어리즘에 대한 일반적 접근
국가의 정책
콘텐츠 투어리즘을 위한 행정지원
콘텐츠산업의 대응
관광 내수시장의 가능성
<너의 이름은(君の名は)〉의 성과
표현의 자유
콘텐츠 투어리즘과 가상현실
애니메이션과 PPL
광의로서의 PPL
스토리텔링 전략
CHAPTER 03 콘텐츠산업의 지역분산
콘텐츠산업의 정의
콘텐츠산업의 특징
도쿄의 산업 집중 과정
일본 콘텐츠산업 현황
CHAPTER 04 고유한 지역문화
고유문화의 확인
지역 고유문화의 상실
새로운 ‘장(場)’ 만들기
콘텐츠산업의 여명기
지역 콘텐츠산업의 태동기
지역 중소도시의 움직임
버블시기 이후
방송국의 역할
한국의 콘텐츠산업 정책
CHAPTER 05 콘텐츠산업의 창출
하츠네 미쿠(初音ミク)
〈수요방랑객(水曜どうでしょう)〉
〈요괴워치〉 /
〈꽃이 피는 첫걸음(花咲くいろは)〉
만화를 통한 지역진흥
지역영화의 등장
지역출판사의 발전방향 모색
디자인의 형태
CHAPTER 06 지역의 역습
삿포로 〈삿포로 아가씨의 식사(札幌乙女ごはん)〉
미나미우오누마(南魚沼) 〈미녀여행(美女旅)〉
이와미자와(岩見沢)의 ‘히무로 사에코 청춘문학상’
CHAPTER 07 콘텐츠산업은 지역의 구원자가 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