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자원순환도시로의 전환을 위한 정책과제 연구 = A Study on Policy Measures for the Transition to a Circular City

김은화

책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은화
안예현
서명/저자사항자원순환도시로의 전환을 위한 정책과제 연구 =A Study on Policy Measures for the Transition to a Circular City /김은화,안예현
발행사항세종 :국토연구원,2022
형태사항v,160.p :삽화,표 ;26cm
ISBN9791158987985
보고서번호수시 22-18
서지주기참고문헌(p.139-146),Summary(p.147-148),부록(p.149-160)
비통제주제어자원순환,순환경제,지속가능발전
바로가기URL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1 EK013093 K 11.10-18 김68자 2022 국토연구원/KRIHS 보고서실/ 대출가능

초록 일부

- 자원순환, 자원순환사회 및 순환경제를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을 실현하기 위해 자원순환 개념을 공간에 통합한 자원순환도시로의 전환이 필요
- 자원순환도시 조성을 위해 도시 자원이용을 선형방식에서 순환방식으로 구조적 변화가 요구되기 때문에 자원순환정책과 공간계획을 연계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와 관련한 정책 연구는 아직 미흡
- 본 연구는 국내외 선행연...

초록 전체

- 자원순환, 자원순환사회 및 순환경제를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을 실현하기 위해 자원순환 개념을 공간에 통합한 자원순환도시로의 전환이 필요
- 자원순환도시 조성을 위해 도시 자원이용을 선형방식에서 순환방식으로 구조적 변화가 요구되기 때문에 자원순환정책과 공간계획을 연계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와 관련한 정책 연구는 아직 미흡
- 본 연구는 국내외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자원순환도시의 개념, 프레임워크 및 계획요소를 재정립하였으며, 이를 국내 사례연구에 적용하여 공간범주에 따른 자원순환정책의 수립, 시행, 관리·평가 단계를 분석
- 관계자 및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자원순환 부문과 국토·도시계획 부문 간 연계에 있어 주요 문제점, 법제도적 개선사항 및 정책 우선과제를 파악
- 국토·도시계획 관점에서 공간범주를 고려한 자원순환도시로의 전환을 위해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법제도적 개선과제 및 향후 정책과제를 모색

목차 일부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제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4. 연구의 기대효과 

제2장 자원순환도시 프레임워크 및 계획요소
 1. 자원순환도시 개념 
 2. 자원순환도시 프레임워크
 3. 자원순환도시 계획요소 
 4. 소결 
 
제3장 자원순환도시 법제도 및 정책 현황
 1....

목차 전체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제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4. 연구의 기대효과 

제2장 자원순환도시 프레임워크 및 계획요소
 1. 자원순환도시 개념 
 2. 자원순환도시 프레임워크
 3. 자원순환도시 계획요소 
 4. 소결 
 
제3장 자원순환도시 법제도 및 정책 현황
 1. 법제도 현황 
 2. 정부부처 정책 현황 
 3. 지방자치단체 정책 현황 
 4. 소결 

제4장 국내 자원순환 정책 및 사업 사례
 1. 사례분석 방법 
 2. 서울특별시 사례
 3. 인천광역시 사례
 4. 아산시 사례 

제5장 자원순환도시로의 전환을 위한 정책과제
 1. 설문조사
 2. 정책방향 
 3. 정책과제

참고문헌
SUMMARY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