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부동산 가격공시 제도의 개선방향 연구 II : 비주거용 부동산 부문 시행방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Real Estate Price Announcement System Ⅱ: Focused on the Action Plan for Non-residential Property Section

이태리

책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이태리
서명/저자사항부동산 가격공시 제도의 개선방향 연구 II :비주거용 부동산 부문 시행방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Real Estate Price Announcement System Ⅱ: Focused on the Action Plan for Non-residential Property Section /이태리,이윤상,오민준,고영화
발행사항세종 :국토연구원,2021
형태사항xxii, 166.p :삽화,지도 ;26cm
ISBN9791158987275
보고서번호기본 21-42
서지주기참고문헌(p.139-141),Summary(p.142-144),부록(p.145-166)수록
비통제주제어부동산,가격공시,비주거용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1 EK013046 K 10.40-13 이882부 2021 국토연구원/KRIHS 보고서실/ 대출가능

초록 일부

- 비주거용 부동산 가격공시제도 시행을 위한 쟁점들의 해결 방안을 제시
 · 제도 시행을 위해 선행적으로 해결해야 할 쟁점 파악
 · 제도 시행 대상 규모 추산, 표준부동산 선정, 가격비준표 시범 작성
 · 제도의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 방향 제언
- 건축물대장 자료를 활용하여 산출한 비주거용 부동산 가격공시 대상 규모는 총 2,909,037동이며, 일반건...

초록 전체

- 비주거용 부동산 가격공시제도 시행을 위한 쟁점들의 해결 방안을 제시
 · 제도 시행을 위해 선행적으로 해결해야 할 쟁점 파악
 · 제도 시행 대상 규모 추산, 표준부동산 선정, 가격비준표 시범 작성
 · 제도의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 방향 제언
- 건축물대장 자료를 활용하여 산출한 비주거용 부동산 가격공시 대상 규모는 총 2,909,037동이며, 일반건축물 비중이 약 97.7%, 상업용 건물 비중이 약 42.7%임
- 표준부동산 규모는 약 50만으로 산출했으며, 서울·경기도가 26.0%, 상업용 부동산이 38.7%로 높은 비율을 차지함
- 비준표 작성을 위해 상업용 부동산의 실거래가격과 토지 특성 지표를 활용하였으며, 가격산정 방식 중 일괄 비교방식을 이용하였음

목차 일부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연구의 틀 
 4.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5. 연구의 정책·학술적 기대효과 

제2장 비주거용 부동산 가격공시 현황 및 쟁점
 1. 비주거용 부동산 현황 
 2. 비주거용 부동산 가격공시 제도 
 3. 비주거용 부동산 가격공시 제도 쟁점...

목차 전체

주요 내용 및 정책제안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연구의 틀 
 4.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5. 연구의 정책·학술적 기대효과 

제2장 비주거용 부동산 가격공시 현황 및 쟁점
 1. 비주거용 부동산 현황 
 2. 비주거용 부동산 가격공시 제도 
 3. 비주거용 부동산 가격공시 제도 쟁점사항 

제3장 비주거용 부동산 가격공시 대상과 표준부동산 규모 산정
 1. 비주거용 부동산 가격공시 대상 규모 추정 
 2. 비주거용 부동산 가격공시 표준부동산 규모 산정 

제4장 비주거용(상업용) 부동산 가격비준표 시범 작성
 1. 상업용 부동산 공시가격 평가산정 방법 대안 검토 
 2. 상업용 부동산 가격비준표 시범 작성 
 
제5장 비주거용 부동산 가격공시 제도 선결과제와 방향
 1. 비주거용 부동산 가격공시 제도 시행 선결과제 
 2. 비주거용 부동산 가격공시 제도 시행 단기 방향 
 3. 비주거용 부동산 가격공시 제도 시행 중장기 방향 
 
제6장 결론 및 향후 과제
 1. 요약 및 결론 
 2.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 
 
참고문헌 
SUMMARY 

▣ 부록1: 강남구, YBD 지역 변수별 가격배율(최근 자료, 2020년) 
▣ 부록2: 중구, 강남구, YBD 지역 변수별 가격배율(5년 간 자료, 2016-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