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경제와 국토 공간
1 창조경제, 경제민주화, 지역균형발전
2 국토균형발전과 지역공동체 경제
3 영남권 네트워크도시화의 가능성과 과제
제2장 도시와 경제 공간
1 탈성장시대, 새로운 지역발전 전략이 필요하다
2 지역불균형과 대구 첨단의료복합단지
3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개발의 의의와 한계
제3장 도시 공간의 재구성
1 메트로시티, 환상 또...
목차 전체
제1장 경제와 국토 공간
1 창조경제, 경제민주화, 지역균형발전
2 국토균형발전과 지역공동체 경제
3 영남권 네트워크도시화의 가능성과 과제
제2장 도시와 경제 공간
1 탈성장시대, 새로운 지역발전 전략이 필요하다
2 지역불균형과 대구 첨단의료복합단지
3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개발의 의의와 한계
제3장 도시 공간의 재구성
1 메트로시티, 환상 또는 현실
2 세종시 건설을 둘러싼 권력 갈등
3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진정한 ‘창조도시’로
제4장 도시 경관과 문화
1 도시의 재개발과 경관의 창조적 파괴
2 도시의 새로운 난장, 축제와 박람회
3 위기에 처한 도시의 문화공간, 대학로
제5장 주택정책과 부동산시장
1 박근혜정부 주거복지정책의 의의와 한계
2 부동산시장, 날개는 달았지만
3 주택시장의 정상화 또는 주거불평등의 심화
제6장 도시 주거와 서민생활
1 누구를 위한 ‘기업형 임대주택’인가?
2 금리 1% 시대, 서민 부채의 함정
3 구룡마을 철거, 합법과 강제 사이
제7장 위험한 사회와 무능한 정치
1 세월호 참사와 위험국가
2 메르스 사태의 지리학과 생명 권력의 정치
3 인구 감소의 암울한 전망과 대책
제8장 다문화사회와 지역의 역할
1 다문화사회로의 전환과 지역의 역할
2 다문화공간의 형성과 다문화주의
3 다문화사회르르 위한 지역 공생 전략
제9장 국토 공간과 도시 이론가들
1 데이비드 하비, 자본의 공간에서 ‘희망의 공간’으로
2 하트와 네그리, 비물질적 생산과 인지자본주의
3 닐 스미스, 불균등발전, 도시 재활성화, 제국의 세계화
제10장 세계화 속 국토 및 도시 관련 서평
1 세계화의 현실과 이데올로기
2 자유무역의 세계화에서 탈세계화의 공정무역으로
3 도시는 누구의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