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도심재생의 미래 : 사회적 자본에 답을 묻는다

이권희

책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이권희
서명/저자사항도심재생의 미래 :사회적 자본에 답을 묻는다 /이권희 지음
발행사항대구 :한티재,2021
형태사항303.p ;22cm
ISBN9791190178594
서지주기참고문헌(p.295-303)수록
비통제주제어도시재생,도심재생,사회적자본,urban regeneartion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1 EB041933 02.30-16 이15도 2021 국토연구원/자료실/ 대출가능

목차 일부

책을 펴내며
프롤로그

제1부 왜 도심 공동체는 해체되는가

1장 역사ㆍ문화 자산을 바라보는 다른 시선
 역사ㆍ문화 콘텐츠의 개념과 활용 
 역사ㆍ문화 자산에 대한 세 가지 인식

2장 도심재생과 역사ㆍ문화 콘텐츠
 도심재생의 개념 | 도심재생의 방향 | 모로코 페즈의 미로 마을 | 통영 동피랑의 벽화 마을 | 대구 김광석길 | 부산 감천문화마을 | 수원 ...

목차 전체

책을 펴내며
프롤로그

제1부 왜 도심 공동체는 해체되는가

1장 역사ㆍ문화 자산을 바라보는 다른 시선
 역사ㆍ문화 콘텐츠의 개념과 활용 
 역사ㆍ문화 자산에 대한 세 가지 인식

2장 도심재생과 역사ㆍ문화 콘텐츠
 도심재생의 개념 | 도심재생의 방향 | 모로코 페즈의 미로 마을 | 통영 동피랑의 벽화 마을 | 대구 김광석길 | 부산 감천문화마을 | 수원 행궁동 마을 | 베이징 스차하이 | 대구 계산동

3장 도심재생의 문제와 도전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에 대한 인식 변화 | 도심재생 패러다임의 변화

제2부 누가 역사ㆍ문화 콘텐츠를 재구성하는가
4장 인식 변화의 차원
 기초 조사 : 길을 묻다 | 스토리텔링 : 이야기를 듣다 | 자료 수집: 이야기를 묶다 | 주민 인식 변화에 대한 시론적 분석

5장 역사ㆍ문화 콘텐츠 활용 방식의 차원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 사례 분석의 틀 |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 사례 분석 결과

제3부 역사ㆍ문화 콘텐츠, 어떻게 협력의 콘텐츠가 되는가
6장 사회적 자본의 역할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역사·문화 콘텐츠의 활용 | 도심재생의 딜레마 상황 | 도심재생과 사회적 자본의 연계 | 사회적 자본의 측정 경험

7장 기능적 공동체의 형성
 역사·문화 콘텐츠의 활용과 기능적 공동체 | 도심재생과 기능적 공동체 | 기능적 공동체 형성의 측정 경험

8장 협력적 행동의 기초
 역사·문화 콘텐츠와 협력적 행동 | 도심재생과 협력적 행동 | 협력적 행동의 측정 경험

제4부 도심재생, 어디로 가는가
9장 도심재생의 과거와 미래
 방치된 담배공장 터의 미래 | 다크투어리즘에 대한 단상 | 도심 동물원의 불편한 진실 | 재래시장 진흙 골목길의 변신, 타이캉루 문화거리 | 방직공장 건물에 들어선 상하이 M5예술촌 | 버려진 군수공장과 다산즈 예술구 | 고량주 냄새가 사라진 자리, 지우창 예술촌 | 사회적 자본 형성과 협력적 행동의 과제

에필로그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