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방법론, 전제
2.1. 연구의 범위
2.2. 연구의 방법
3. 선행연구 검토
3.1. 북한 현황분석
3.2. 계획개발 제도 및 정책
3.3. 선행연구와 차별성
제2장 평양과 주변지역의 성장과정과 평양의 위상
1. 도시조성 ...
목차 전체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방법론, 전제
2.1. 연구의 범위
2.2. 연구의 방법
3. 선행연구 검토
3.1. 북한 현황분석
3.2. 계획개발 제도 및 정책
3.3. 선행연구와 차별성
제2장 평양과 주변지역의 성장과정과 평양의 위상
1. 도시조성 정책과 사업의 전개
1.1. 평양직할시
1.2. 평양 주변지역
2. 도시구조의 변화
2.1. 평양직할시
2.2. 평양 주변지역
3. 행정구역의 변천
3.1. 평양직할시
3.2. 평양 주변지역
4. 소결
4.1. 평양과 주변지역의 성장과정 종합
4.2. 평양 대도시권의 위상
제3장 평양 대도시권 현황 분석
1. 평양 대도시권의 범위 설정
1.1. 평양 대도시권 설정의 전제
1.2. 평양 주변지역 토지이용 검토
1.3. 평양 중심의 네트워크 분석
1.4. 평양 대도시권의 대안적 설정
2. 평양과 주변 지역의 도시지역 현황
2.1. 지형 및 자연환경 현황
2.2. 인구 현황
2.3. 주거 현황
2.4. 토지이용현황
2.5. 교통 및 인프라 현황
2.6. 경제 및 산업 현황
2.7. 평양 대도시권 여가・관광시설 입지현황
2.8. 평양 대도시권 문화재 입지현황
2.9. 평양 대도시권 공간구조현황
3. 평양 대도시권의 건설개발 사업 동향
3.1. 연도별, 지역별, 부문별 건설개발 기사 추이
3.2. 연도별 건설개발 동향
3.3. 부문별 건설개발 동향
3.4. 소결
4. 북한 내 정책, 계획 조사분석
4.1 관련 정책 및 법제도
4.2. 도시 및 인프라 계획개발 관련 법제도
4.3. 도시 및 인프라 계획개발 관련 조직과 역할
4.4. 주요 도시계획 및 인프라 계획
4.5. 시사점
5. 개발가능지 및 도시정비 필요지역 분석
5.1. 기성시가지 여건분석 및 도시정비 필요지역 도출
5.2. 개발가능지 분석
제4장 해외 유사 도시사례 분석
1. 유사 국가의 사례도시 선정과 분석내용
1.1. 분석 필요성과 사례도시 선정
1.2. 분석의 시간적 범위와 내용
2. 사례도시별 분석
2.1. 중국 베이징
2.2. 베트남 하노이
2.3. 쿠바 아바나
2.4. 독일 베를린
3. 사례분석 종합 및 시사점
3.1. 사례분석 종합
3.2. 시사점
제5장 평양 대도시권 성장 전망
1. 성장 전망을 위한 시나리오 설정
1.1. 시나리오 접근의 필요성과 기본내용 검토
1.2. 평양 대도시권 개발 시나리오: 개발구상을 위한 가정
2. 산업 전망과 산단 개발수요 추정
2.1. 북한의 경제산업 현황
2.2. 평양의 산업특성
2.3. 산업의 성장 전망
3. 인구 전망과 주거지 개발수요 추정
3.1. 사전 검토
3.2. 인구 및 주거지 개발 수요 전망
4. 평양 대도시권 공간구조 전망
4.1. 공간구조 현황
4.2. 2030년 공간구조 전망
4.3. 2040년 공간구조 전망
제6장 계획적정책적 제언
1. 평양 대도시권의 효과적 성장을 위한 정책 제언
2. 남북협력의 지점과 역할
3.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