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 1 장 총 설
1-1 개설
1-2 조경관리의 의의와 기능
1-3 조경관리의 시대적 변천과정
1-4 조경관리의 목표
1-5 조경관리계획의 입안
1-6 이 책의 구성
참고문헌
제 2 장 운영관리
2-1 개설
2-2 운영관리의 계획
2-2-1 운영관리의 전략
2-2-2 조경공간 양(量)의 변화성
2-2-3 조경공간 질(質)의 변화...
목차 전체
제 1 장 총 설
1-1 개설
1-2 조경관리의 의의와 기능
1-3 조경관리의 시대적 변천과정
1-4 조경관리의 목표
1-5 조경관리계획의 입안
1-6 이 책의 구성
참고문헌
제 2 장 운영관리
2-1 개설
2-2 운영관리의 계획
2-2-1 운영관리의 전략
2-2-2 조경공간 양(量)의 변화성
2-2-3 조경공간 질(質)의 변화성
2-2-4 관리계획의 진단
2-3 운영관리의 체계
2-3-1 관리조직
2-3-2 관리인원
2-3-3 관리예산
2-4 운영관리의 방식
2-4-1 관리운영의 매뉴얼
2-4-2 직영과 위탁
2-4-3 시민참여
2-5 관리업무의 수행
2-5-1 점용 및 행위허가
2-5-2 공공재산과 관리대장(管理臺帳)
2-5-3 관련 주요 법규
참고문헌
제3장 이용관리
3-1 개설
3-2 이용안내(정보제공, 홍보)
3-2-1 이용안내 필요성
3-2-2 이용안내 방법
3-3 이용지도
3-3-1 필요성
3-3-2 이용지도 방법
3-3-3 이용지도의 사례(事例)
3-4 행사(event)등 이용프로그램
3-4-1 행사의 필요성
3-4-2 행사개최의 형태
3-4-3 행사개최의 방법
3-5 자원 및 이용조사
3-5-1 자원 및 이용조사 필요성
3-5-2 자원 및 이용조사 방법
3-5-3 이용자 요구사항의 내용
3-6 안전관리
3-6-1 필요성
3-6-2 사고의 종류
3-6-3 방법
3-7 민·관파트너십 관리(주민참여)
3-7-1 주민참가(citizen participation)의 필요성
3-7-2 주민참가의 발전과정
3-7-3 주민참가와 공원관리
3-7-4 민·관파트너십관리의 사례
3-8 조경공간 관리 및 수용능력
3-8-1 공간관리전략
3-8-2 수용능력의 개념 및 정의
참고문헌
제 4 장 수목 관리
4-1 식재관리
4-1-1 수목지지 장치물: 지주목과 버팀줄
4-1-2 관수
4-1-3 식재지 토양관리
4-2 전정관리
4-2-1 전정의 이론
4-2-2 전정의 목적에 따른 분류
4-2-3 전정도구
4-2-4 전정 시기
4-2-5 구조 전정
4-2-6 성목 전정
4-2-7 특수수형 육성 및 관리
4-2-8 뿌리전정과 관리
4-3 병해관리
4-3-1 병원의 분류
4-3-2 병징과 진단
4-3-3 수병(樹病)의 발생
4-3-4 식물의 방제법
4-3-5 조경수목의 주요병해 및 방제
4-4 충해관리
4-4-1 곤충의 특성
4-4-2 곤충의 형태
4-4-3 곤충의 생태
4-4-4 곤충의 분류
4-4-5 해충의 종류
4-5 비전염성 생육장애관리
4-5-1 기상적 요인
4-5-2 토양적 요인
4-5-3 생물적 요인
4-5-4 인위적 요인
4-6 노거수 및 위험수목관리
4-6-1 노거수목 관리
4-6-2 위험수목 관리
4-7 도시숲 및 기타 관리
4-7-1 도시숲 식생관리
4-7-2 인공지반 식생관리
4-7-3 비탈면 식생관리
참고문헌
제 5 장 잔디 및 초화류 관리
5-1 잔디관리
5-1-1 잔디 식재관리
5-1-2 잔디유지 관리
5-1-3 잡초방제
5-2 초화류의 유지관리
5-2-1 화단 일반관리
5-2-2 재배관리
참고문헌
제 6 장 시설 유지관리 개요
6-1 시설 유지관리의 원칙
6-1-1 특성
6-1-2 용어정의
6-2 유지관리의 범위
6-2-1 목적
6-2-2 대상 및 유형
6-3 유지관리계획
6-3-1 계획의 조건
6-3-2 시간적 계획
6-3-3 작업계획 수립
6-4 유지관리의 집행
6-4-1 순회점검과 응급조치
6-4-2 시설의 정비보수
6-4-3 유지관리의 안전과 유의점
6-4-4 유지관리의 조직의 구성
6-5 시설물 유지관리업 관련제도
6-5-1 법적 정의
6-5-2 법적 개요
6-5-3 제언
참고문헌
제 7 장 기반시설 유지관리
7-1 포장관리
7-1-1 대상과 포장유형
7-1-2 자전거 및 관리용 차도 포장의 유지관리
7-1-3 보도, 광장, 원로 포장의 유지관리
7-1-4 운동시설 포장의 유지관리
7-2 배수관리(排水管理)
7-2-1 대상과 배수유형
7-2-2 배수시설 종류별 유지관리
7-3 비탈면
7-3-1 개요
7-3-2 비탈면 관리
7-4 옹벽 및 교량
7-4-1 옹벽
7-4-2 교량
7-5 급·관수시설
7-5-1 급수시설
7-5-2 관수시설
7-6 건축물의 유지관리
7-6-1 조직과 인력
7-6-2 건물과 설비 관리의 접근방법
7-6-3 예방 유지관리
7-6-4 건물유지관리를 위한 장비와 부품
7-6-5 건축물의 청소
7-6-6 관리인력 절약을 위한 계획 방법
7-6-7 청소의 용역시행
참고문헌
제 8 장 놀이·휴게·안내시설 유지관리
8-1 일반사항
8-1-1 시설관리 일반
8-1-2 시설물 관리의 범위
8-1-3 사용재료별 관리
8-2 휴게시설의 관리
8-2-1 휴게시설의 유형
8-2-2 휴게시설 관리의 특성
8-2-3 휴게시설의 점검과 조사
8-2-4 휴게시설의 관리
8-3 놀이시설
8-3-1 놀이시설의 유형
8-3-2 놀이시설 관리의 특성
8-3-4 놀이시설의 관리
8-4 운동시설
8-4-1 운동시설의 유형
8-4-2 운동시설 관리의 특성
8-4-3 운동시설의 점검과 조사
8-4-4 운동시설의 관리
8-5 관리시설
8-5-1 관리시설의 유형
8-5-2 관리시설 관리의 특성
8-5-3 관리시설 점검과 조사
8-5-4 관리시설의 관리
8-6 안내시설
8-6-1 안내시설의 유형
8-6-2 안내시설 관리의 특성
8-6-3 안내시설의 점검과 조사
8-7 수경시설
8-7-1 수경시설의 유형
8-7-2 수경시설 관리의 특성
8-7-3 수경시설의 점검과 조사
8-7-4 수경시설의 관리
8-8 환경조형시설
8-8-1 환경조형시설의 유형
8-8-2 환경조형시설 관리의 특성
8-8-3 환경조형시설의 점검과 조사
8-8-4 환경조형시설의 관리
8-9 경관조명시설
8-9-1 경관조명시설의 유형
8-9-2 경관조명시설 관리의 특성
8-9-3 경관조명시설의 점검과 조사
8-9-4 경관조명시설의 관리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