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지방도시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계획 및 제도 연계 방안

김동근

책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동근
서민호
박대한
서명/저자사항지방도시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계획 및 제도 연계 방안 /김동근,서민호,박대한
발행사항세종 :국토연구원,2020
형태사항xxii, 174.p :삽화 ;26cm
ISBN9791158985950
보고서번호기본 20-29
서지주기참고문헌(p.165-172),Summary(p.173-174)수록
비통제주제어지방도시,주거환경,주거개선
바로가기URL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1 EK012933 K 03.10-15 김24지 2020 국토연구원/모빌랙/ 대출가능

초록 일부

- 지방도시는 장기간 인구유출과 경제활동 약화로 인하여 수도권에 비하여 주거환경 열악
- 노후주거지 정비를 위한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 제도가 운용 중이나, 신시가지로의 인구 유출, 사업성의 부족, 지역 주민의 부담감, 공공 지원 한계 등으로 정비사업 진행 미흡
- 청주시와 목포시는 추진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정비구역을 해제하고 도시재생사업으로 전환하는 등의 정...

초록 전체

- 지방도시는 장기간 인구유출과 경제활동 약화로 인하여 수도권에 비하여 주거환경 열악
- 노후주거지 정비를 위한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 제도가 운용 중이나, 신시가지로의 인구 유출, 사업성의 부족, 지역 주민의 부담감, 공공 지원 한계 등으로 정비사업 진행 미흡
- 청주시와 목포시는 추진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정비구역을 해제하고 도시재생사업으로 전환하는 등의 정책적 노력을 하고 있으며, 도시재생전략 도입 이후 도시재생활성화지역에서 신축 외 건축허가(개축, 대수선, 용도변경)가 활성화되는 등의 긍정적 변화가 감지됨
- 지방도시 특성을 고려하여 정비제도의 개선과 도시재생 및 도시계획과 정책적 공조 필요

목차 일부

제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4. 연구의 기대효과 

제2장 지방도시의 주거환경 노후화 특성과 문제점
 1. 인구 감소와 지방의 위기 
 2. 지방도시 주거 노후화의 양상 
 3. 지방도시 주거 노후화의 원인과 시사점 

제3장 주거환경 정비재생을 위한 제도와 과제
 1...

목차 전체

제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4. 연구의 기대효과 

제2장 지방도시의 주거환경 노후화 특성과 문제점
 1. 인구 감소와 지방의 위기 
 2. 지방도시 주거 노후화의 양상 
 3. 지방도시 주거 노후화의 원인과 시사점 

제3장 주거환경 정비재생을 위한 제도와 과제
 1. 노후 주거지 정비와 재생을 위한 관련 제도 현황 
 2. 지방도시 노후 주거지 정비재생 사업 현황 
 3. 정비재생 사업과 신규주택 공급사업과의 관계 
 4. 주거환경 정비재생 관련 제도의 문제점과 과제 

제4장 지방도시 사례 지역의 심층 분석
 1. 사례 분석 개요 
 2. 사례 지역의 주거환경 현황과 변화 
 3. 사례 지역의 정비재생 계획 및 사업 현황과 효과 
 4. 사례 분석의 종합과 시사점 
 
제5장 지방도시 도심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
 1. 지방도시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기본 방향 
 2. 주거환경 실태분석을 위한 기초조사의 통합 운용 
 3. 미추진 정비구역의 해제와 도시재생으로의 통합 관리 
 4. 관련 사업의 연계 시행과 공공의 참여확대 
 5. 지방도시 도심주거 활성화를 위한 신구 도시공간 연계 관리 
 
제6장 결론 및 향후 과제
 1. 연구의 종합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