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경기북부 접경지역의 균형개발을 위한 종합 발전구상과 실천방안 연구 Ⅲ = A Study on the Comprehensive Strategies and Practical Application for Balanced Development in the Border Areas of Northern Gyeonggi Province Ⅲ

강민조

책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강민조
임용호
최용환
최재헌
오호영
서명/저자사항경기북부 접경지역의 균형개발을 위한 종합 발전구상과 실천방안 연구 Ⅲ =A Study on the Comprehensive Strategies and Practical Application for Balanced Development in the Border Areas of Northern Gyeonggi Province Ⅲ /강민조,임용호,최용환,최재헌,오호영
발행사항세종 :국토연구원,2020
형태사항xxiv, 231.p :삽화 ;26cm
ISBN9791158985929
보고서번호기본 20-40
서지주기참고문헌(p.195-204),Summary(p.205-208),부록(p.209-231)수록
비통제주제어접경지역,균형개발
바로가기URL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1 EK012920 K 02.10-07 강39경 2020 국토연구원/KRIHS 보고서실/ 대출가능

초록 일부

- 남북협력과 균형발전을 위한 DMZ 평화누리길 등 인천(5개)·강원(14개)의 총 19개의 연계사업을 선정하고 남한 접경지역간·남북 접경지역간 사업의 분야별·단계별 연계협력을 추진
- 관광, 통일특구 등의 산업·경제, 교통 인프라, 보건·의료·방역 등의 인적교류, 군부대 이전에 따른 유휴부지 활용분야별 연계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사업의 시너지 효과 극대화
-...

초록 전체

- 남북협력과 균형발전을 위한 DMZ 평화누리길 등 인천(5개)·강원(14개)의 총 19개의 연계사업을 선정하고 남한 접경지역간·남북 접경지역간 사업의 분야별·단계별 연계협력을 추진
- 관광, 통일특구 등의 산업·경제, 교통 인프라, 보건·의료·방역 등의 인적교류, 군부대 이전에 따른 유휴부지 활용분야별 연계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사업의 시너지 효과 극대화
- 남북간 접경지역의 연계사업은 남한부터 선(先)개발하는 초기단계, 남북공동사업을 추진하는 확대단계, 남북 전역으로 확산하는 심화단계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추진
- 실효성 있는 연계사업 추진을 위해 중앙부처·지자체·지역주민·전문가 간의 국내적 차원의 거버넌스 구축 및 남북협력과 UN, UNESCO 등의 국제기구를 통한 국제협력 추진

목차 일부

제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경기북부 접경지역 실천사업 연계의 필요성 및 추진방향
1. 경기북부 접경지역 실천사업 연계의 개념 및 필요성
2. 경기북부 접경지역 실천사업 연계방향
3. 실천사업 단계별 연계방향
제3장 경기북부 접경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한 인천 강원 연계사업  
1...

목차 전체

제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경기북부 접경지역 실천사업 연계의 필요성 및 추진방향
1. 경기북부 접경지역 실천사업 연계의 개념 및 필요성
2. 경기북부 접경지역 실천사업 연계방향
3. 실천사업 단계별 연계방향
제3장 경기북부 접경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한 인천 강원 연계사업  
1. 접경지역의 균형발전 연계사업 선정방법
2. 경기북부와의 연계를 위한 인천 접경지역의 사업 선정
3. 경기북부와의 연계를 위한 강원 접경지역의 사업 선정

제4장 분야별 접경지역 연계사업의 추진방안
1. 분야별 연계사업 추진방안의 개요
2. DMZ 생태·문화·평화·관광 분야
3. 산업 경제(통일특구 및 산업 물류단지) 분야
4. 도로·철도 등의 교통 인프라 분야
5. 남북 교육·문화·의료·보건 협력 등의 인적교류 분야
6. 주한미군 반환공여구역 및 군부대 이전 유휴부지 활용분야
7. 남북 접경지역 협력을 위한 기타 연계방안
제5장 연계사업의 단계별 추진방안 및 거버넌스 구축방안
1. 접경지역 사업의 연계를 위한 단계별 추진방안
2. 거버넌스 구축방안
3. 정책제안
제6장 결론 및 향후 과제
1. 종합결론
2. 기대효과
3. 향후과제

참고문헌 
SUMMARY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