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한국 베트남 스마트시티 협력방안 연구 = A Study on Cooperation Strategies for Smart Cities in Korea and Vietnam

김익회

책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익회
이재용
고세범
홍나미
엄은희
Do Hau
Tran Ngoc Chinh
김부연
서명/저자사항한국 베트남 스마트시티 협력방안 연구 =A Study on Cooperation Strategies for Smart Cities in Korea and Vietnam /김익회,이재용,고세범,홍나미,엄은희,Do Hau,Tran Ngoc Chinh,김부연
발행사항세종 :국토연구원,2020
형태사항v, 144.p :삽화,지도 ;25cm
ISBN9791158985554
보고서번호수시 20-09
서지주기참고문헌(p.125-134),Summary(p.135-137),부록(p.139-144)수록
비통제주제어국제협력,스마트시티,베트남
바로가기URL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1 EK012904 K 02.30-15 김69한 2020 국토연구원/모빌랙/ 대출가능

초록 일부

- 국내 스마트시티 정책은 `16년 이후 다변화와 혁신성을 추구하며, 해외진출과 관련하여 제3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에서 국제협력을 주요한 추진전략과제로 제시
- 신남방정책과 아세안 스마트시티 네트워크 연계를 기반으로 베트남을 포함한 아세안 국가들에 국내 스마트시티 모델을 확산하기 위하여 여러 정부 기관들이 다양한 사업들을 진행
- 베트남은 `18년 Deci...

초록 전체

- 국내 스마트시티 정책은 `16년 이후 다변화와 혁신성을 추구하며, 해외진출과 관련하여 제3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에서 국제협력을 주요한 추진전략과제로 제시
- 신남방정책과 아세안 스마트시티 네트워크 연계를 기반으로 베트남을 포함한 아세안 국가들에 국내 스마트시티 모델을 확산하기 위하여 여러 정부 기관들이 다양한 사업들을 진행
- 베트남은 `18년 Decision No.950을 발표하고 스마트시티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 중이며, 스마트시티 네트워크 구축, MP 수립, 표준화, 법제도 개선 등을 주요 추진 목표로 제시
- 베트남의 스마트시티 정책방향은 국내 정책방향과 유사하며, 양국간 스마트시티 발전을 위한 협력은 국내 스마트시티의 글로벌 확산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음
- `18년 한국과 베트남은 스마트시티 협력센터를 구축하기로 하고, `20년 관련 사업을 착수하였으며, 이와 관련 구체적인 협력방안 제시가 필요한 시점으로서 본 연구는 한국과 베트남의 스마트시티 협력 방안을 제시함

목차 일부

제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4. 연구의 기대효과 

제2장 한국의 스마트시티 해외진출정책과 국제협력 동향
 1. 한국의 스마트시티 해외진출정책 동향 
 2. 한-아세안 스마트시티 네트워크 동향 

제3장 베트남의 스마트시티 추진 현황 조사
 1. 베트남의 사회경제 및 도시 ...

목차 전체

제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4. 연구의 기대효과 

제2장 한국의 스마트시티 해외진출정책과 국제협력 동향
 1. 한국의 스마트시티 해외진출정책 동향 
 2. 한-아세안 스마트시티 네트워크 동향 

제3장 베트남의 스마트시티 추진 현황 조사
 1. 베트남의 사회경제 및 도시 현황 
 2. 베트남의 스마트시티 정책 현황 
 3. 베트남의 스마트시티 사업 현황 
 4. 베트남의 스마트시티 국제 협력 현황 
 5. 한국과 베트남의 스마트시티 협력 현황 및 의의 

제4장 한국과 베트남의 스마트시티 협력 방안
 1. 한국과 베트남의 스마트시티 협력 기본 방향 
 2. 스마트시티 관련 정책적 협력 
 3. 스마트시티 인프라기술솔루션 및 투자 협력 
 4. 교류 협력 프로그램 
 5. 한국 베트남 스마트시티 협력센터를 통한 협력방향 

제5장 결론 및 향후 과제
 1. 결론 및 정책제언 
 2. 향후 과제 

참고문헌 
SUMMARY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