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구성 및 방법
2.1 연구의 구성과 내용
2 .2 연구의 범위와 분석 방법
3. 선행 연구 검토
제2장 유형통합 임대주택 현황과 문제점
1. 장기공공임대주택 현황
1.1 장기공공임대주택 공급 개요
1.2 유형통합 임대주택 현황
2. 소형 중심 공급과 소득 중심의 ...
목차 전체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구성 및 방법
2.1 연구의 구성과 내용
2 .2 연구의 범위와 분석 방법
3. 선행 연구 검토
제2장 유형통합 임대주택 현황과 문제점
1. 장기공공임대주택 현황
1.1 장기공공임대주택 공급 개요
1.2 유형통합 임대주택 현황
2. 소형 중심 공급과 소득 중심의 공급기준에 따른 문제점
2.1 유형별 주거편익 격차 발생 : 과밀 또는 과소의 문제
2.2 주거선호 및 주택수요 반영 미흡 ; 초소형 중심의 공가 발생
제3장 가구ㆍ지역 특성에 맞는 적정 주거기준
1. 가구특성을 고려한 공급기준(면적) 해외 사례
1.1 일반 면적 기준
1.2 취약계층을 고려한 면적기준
1.3 지역 여건을 고려한 면적기준
2. 가구특성을 고려한 공급기준(면적) 국내 사례
2.1 최소 주거면적 기준
2.2 과밀과소를 고려한 적정면적 설정
2.3 국내 침실 면적 기준 및 유니버설 디자인
2.4 가구특성 변화 및 주거수준의 향상
2.5 가구특성을 고려한 필요 침실 수 및 필요 면적
3. 국내외 가구특성을 고려한 공급기준(면적) 시사점
제4장 가구특성 및 지역여건을 고려한 통합공공임대주택 공급기준
1. 통합공공임대주택 공급방향
1.1 주거의 질 제고를 위한 맞춤형 공급제도로 구상
1.2 종합적인 공공임대주택정책 내에서 통합공공임대주택 제도를 구축
1.3 가구의 주거 선택ㆍ선호와 운영ㆍ관리의 효율도 함께 고려
2. 통합공공임대주택 공급제도 구상
2.1 공급계획 수립 : 전용면적 등 규모별 물량 계획
2.2 공급기준 설정
2.3 거주기준 마련
3. 지속가능한 유형통합제도 운영을 위한 중장기 추진 방향
3.1 유형통합 대상 장기공공임대주택과의 통합
3.2 기타 장기공공임대주택과의 통합
3.3 특화형 임대주택과의 통합
참고문헌
부 록
부록 1. 장기공공임대주택 통계 분석 결과
부록 2. 주거이동 등 관련 제도 운영 현황
부록 3. LH 임대주택의 평면구성 현황
부록 4. 무주택 가구 현황(2019 주택소유통계)
부록 5. 세대구성별 가구구성(2019 인구총조사)
부록 6. 시범사업 대상지 인근지역권 LH 임대주택 입주자 주거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