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3. 선행연구 검토
제2장 농촌 맞춤형 지역재생 관련 제도 분석
1. 중앙정부 정책 분석
1.1 농림축산식품부
1.2 국토교통부
1.3 기타 중앙부처
2. 지방정부 정책 분석
2.1 충북 농시
2.2 전북 도농융합 상생문명
2.3 경북 이웃사촌...
목차 전체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3. 선행연구 검토
제2장 농촌 맞춤형 지역재생 관련 제도 분석
1. 중앙정부 정책 분석
1.1 농림축산식품부
1.2 국토교통부
1.3 기타 중앙부처
2. 지방정부 정책 분석
2.1 충북 농시
2.2 전북 도농융합 상생문명
2.3 경북 이웃사촌 시범마을
3. 해외 제도 및 사례 분석
3.1 일본
3.2 독일
4. 소결
4.1 주요 정책사업 한계점
4.2 해외 사례의 시사점
제3장 군 단위 지역재생 사업 현황 분석
1. LH 마을정비형 공공주택사업 내 마을계획 분석
1.1 분석 개요
1.2 분석 결과
2. 농촌재생 사업 관련 마을계획 분석
2.1 분석개요
2.2 분석결과
3. 농촌재생 마을계획 세부사업 내용 분석
4. 소결
제4장 농촌 맞춤형 지역재생 사업 전략수립
1. 사업의 목적 및 대상
2. 사업 추진 방향
3. 사업모델 및 관련 사례 분석
3.1 학교살림마을 모델 및 국내 사례
3.2 로컬 푸드 생산유통 마을 모델 및 국내 사례
3.3 K-의료복지마을 모델 및 국내 사례
4. 사업모델 대상지 적용
4.1 학교살림마을 (아이토피아) : 함양군 서하면안의면
4.2. 로컬 푸드 생산유통마을 : 진천군 이월면덕산면
4.3. K-의료복지마을 : 단양군 단양읍
제5장 사업추진을 위한 협력 및 제도개선 방향
1. 사업추진을 위한 LH 역할
2. 제도 분석을 통한 선결과제
3. 사업추진을 위한 협력방안
3.1 부처 연계 협력 방안
3.2 재원조달 방안
4. 세부사업별 선결과제
4.1 학교살림마을 모델
4.2. 로컬푸드 생산유통마을 모델
4.3. K-의료복지마을 모델
제6장 결 론
참 고 문 헌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