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경기도 5등급 경유자동차 저공해화 방안 연구 =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Low-emmision Measures for 5th Grade Diesel Vehicles in Gyeonggi-Do

강철구

책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강철구
김동영
전소영
최미애
서명/저자사항경기도 5등급 경유자동차 저공해화 방안 연구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Low-emmision Measures for 5th Grade Diesel Vehicles in Gyeonggi-Do /강철구,김동영,전소영,최미애
발행사항경기 :경기연구원,2020
형태사항xiv, 204.p :삽화 ;26cm
총서사항정책연구 ;2020-06
총서부출표목정책연구 ;2020-06
ISBN9791190586276
서지주기참고문헌(p.189),Abstract(p.191-192),부록(p.193-204)수록
비통제주제어저공해,경유자동차
바로가기URL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자료실/서가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1 EB041436 06.20-06 강82경 2020 국토연구원/자료실/ 대출가능

목차 일부

제1장 서론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2.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5등급 경유차 저공해화 저책 현황 및 문제점
 1.정책현황
  1)해외사례
  2)시사점
  3)국내 및 경기도 현황
 2.제도 운영상의 문제점

제3장 경기도의 5등급 경유차 저공해화사업 성과분석
 1.저공해화 추진실적
  1)사업별 추진실적(2004-2019년)
  2)사업유...

목차 전체

제1장 서론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2.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5등급 경유차 저공해화 저책 현황 및 문제점
 1.정책현황
  1)해외사례
  2)시사점
  3)국내 및 경기도 현황
 2.제도 운영상의 문제점

제3장 경기도의 5등급 경유차 저공해화사업 성과분석
 1.저공해화 추진실적
  1)사업별 추진실적(2004-2019년)
  2)사업유형별·재원별 지원금액(2004~2019년)
  3)시·군별 추진실적(2011~2019년)
 2.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삭감효과 분석
  1)분석방법
  2)삭감량 산정 결과
 3.경제성 분석
  1)대기오염물질별 사회적 비용
  2)저공해조치별 사회적 편익
  3)시·군별 사회적 편익
 4.종합분석과 시사점

제4장 5등급 경유차 배출가스저감사업 및 운행제한 도민 설문조사
 1.배출가스저감사업 및 운행제한 정책의 기여도
  1)배출가스저감사업(저감장치 부착)의 미세먼지 저감 기여도
  2)운행제한 정책의 미세먼지 저감 기여도
 2.배출가스저감사업 및 운행제한 정책의 만족도
  1)배출가스저감사업에 대한 만족도
  2)운행제한 정책에 대한 만족도
 3.배출가스저감사업 및 운행제한 정책의 문제점
  1)배출가스저감사업의 문제점
  2)운행제한 정책의 문제점
 4.배출가스저감사업 및 운행제한 정책의 개선방향
 5.요약 및 시사점

제5장 5등급 경유차 저공해화사업 효율적 추진 방안
 1.5등급 경유차 조기 저공해화 방안
  1)민선7기 내 연차별 추진방안
  2)저공해화사업 대상자 참여율 제고 방안
  3)노후 경유차 운행 획기적 억제를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
 2.도민 수용성을 고려한 운행제한 제도 개선방안
  1)필요성
  2)운행제한 제도 단순화 방안
 3.상시 운행제한 차량 확대 타당성 검토 분석
  1)필요성
  2)확대 방안 분석
 4.기타 저공해화사업 조기 달성 방안
  1)5등급 차량 저공해조치사업 성과 우수 시·군 포상제도 도입
  2)저공해화사업 지원체계 강화

제6장 정책제안

참고문헌